25일 개발정보업체 지존(Gzone)에 따르면 광명·시흥지구 토지보상금 규모는 8~10조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11년전 광명·시흥지구가 보금자리 주택지구(1713만㎡)로 선정됐을 당시 추산된 8조 800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다만 이번에 공공택지 지구로 선정된 광명·시흥지구 면적(1271만㎡)이 과거보다 500만㎡ 가량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큰 폭으로 늘어난 셈이다.
신태수 Gzone 대표는 “광명·시흥지구는 보금자리 주택지구 해제와 함께 리먼사태로 국내 투자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상당히 오랜기간 지가가 침체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후 광명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개발이 성공하면서 최근 2-3년간 지가 상승률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10조원 규모의 광명·시흥지구 토지보상금 추산치는 하남 교산(6조7000억원)과 고양 창릉(6조3000억원)을 가뿐히 뛰어넘는 규모다. 남양주 왕숙(5조7000억원)과 인천 계양(1조1000억원), 부천 대장(9000억원) 등과는 비교조차 어렵다.
이에 10조원 규모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경우 주변 지역의 집값이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섞인 반응도 나온다. 신 대표는 “막대한 토지보상금이 풀릴 경우 부동산으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제일 높다”며 “이렇게 풀린 보상금은 서울 서부권역과 경기도 남부권역의 주택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대규모 토지보상금이 풀릴 경우 부동산 시장의 안정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현금보상 대신 대토보상 활성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대토보상이란 현금 대신 해당 택지개발지구 내 땅을 보상으로 받는 것을 말한다. 받은 땅에 단독주택을 짓거나 대토리츠에 가입해 연 5~6%의 수익을 받을 수 도 있다.
정부를 이를 위해 대토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대토 대상 지역을 주민선호도가 높은 지역에 선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대토보상자들이 출자한 리츠의 공동주택 개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