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전 과학기술부장관은 20일 페이스북울 통해 “<우리는 달라야 한다.> 이준석 대표님! 김영환입니다”라며 위와 같이 원팀을 강조했다.
김 전 장관은 “나는 민주당이 정말 민주(民主)라는 이름을 가질 자격이 없다고 그 전부터 생각해왔지만, 급기야 당 내의 민주주의를 실종시키다 못해 어쩌다 이런 지경에 이르게 되었는가 하는 한탄을 숨길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며 “사실 민주당이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었다. 김대중 시절의 민주당에서는 당 내에 나처럼 중도 실용주의 노선을 가진 사람들부터 일부 보수적인 정치인, 급진적인 정치인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치열하게 토론하며 정책과 법안을 만들던 시기도 있었다. 당내 민주주의가 살아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친노’가 득세하고, 탄핵사태로 민주당이 갈라지던 시절부터 당 내의 민주주의는 사라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존 민주당을 지키고 있던 김대중 정권의 사람들은 ‘평소 하던 대로’ 제목소리를 내는 것에 서슴없었지만 이는 득세한 ‘친노’계파라는 ‘당내의 일진들’에게 해당행위로 찍혀 왕따를 통해 탄압 당했다. 그들은 당 내에서 당의 미래에 대한 쓴소리를 하는 사람들을 ‘내부총질러’라는 반민주적이고 혐오적인 신조어까지 만들어가며 우리나라 정치사를 좀먹기 시작했다. 결국 지난 대선을 전후하여 안철수를 시작으로 소위 당시 민주당 내의 ‘내부총질러’들은 그들로부터의 분리를 선택했고, 그렇게 생겨난 ‘국민의당’을 ‘먹고 남은 국물당’이라며 조롱하기까지 했다. 이후에도 조국사태를 비판한 금태섭을 갖은 술수로 괴롭혀 쫓아내지 않았나!?”라고 덧붙였다.
김 전 장관은 “이것이 친노, 친문 대 비노, 비문의 당내 파벌싸움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교란하고, 신 기득권을 폭력으로 찬탈한 전체주의정당 민주당의 민낯”이라고 비난했다.
김 전 장관은 “민주주의는 원칙과 상호 관용에 의해서 그 품격이 유지된다. 미국 정치사에서는 언제나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면 서로간의 예의를 갖추어 승복연설을 하고, 임기 이후에는 오히려 친한 친구로 지내는 전통이 자리 잡은 것이 단적이 예라고 볼 수 있다.(물론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으로 그 전통을 깼지만.)”며 “앞두고 있는 대선에서 우리는 달라야 한다.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전체주의 정당에 맞서 한 단계 이상 수준 높은 민주주의로 응수하여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살려내야 한다. 보수는 ‘보수만으로 대선을 이길 수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하며, 진보를 혐오하고, 중도는 없다는 적대적인 생각으로는 절대 다음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준석 대표가 당 밖의 후보들의 입당을 종용하며, 당 내 인사들의 당 밖 후보 지원을 해당행위 운운하며 막는 것은 민주당이 그간 해오던 전체주의 행위와 너무나도 닮아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민주정당이 당 내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품는 것이 더 큰 정당의 모습이지, 민주당이나 하던 전체주의 원팀 전략을 따라 한다는 것은 참 애석하다. 지난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소속이지만 트럼프에 반대하여 바이든 지지선언을 한 경우도 수두룩한데 그런 사람들에 대해 공화당이 징계했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당원이 소신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해당 행위’라면 그 말 자체가 전체주의 정당임을 자백하는 것과 같다. 우리가 똘똘 뭉쳐 키우고 지켜야 할 원팀은 그야말로 단 하나다. 국민과 역사의 편에 서는 것. 진보, 보수, 중도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판을 짜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정권교체를 이루고, 그 모든 사람들을 품을 수 있는 품이 넓은 현명한 정치를 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전 장관은 “이것은 보수도, 진보도, 중도도 아닌 우리가 추구해야 할 수준 높은 관용과 통 큰 결정으로 이뤄가야 할 자유민주주의의 원팀일 따름이다. 이런 내 주장이 해당행위라면, 이 것이 나에게 주어진 역사의 소명이라면 언제나 그랬듯 나는 또 당당하게 “해당행위자”로 ‘낙인 찍힘’을 당하겠노라 선언한다. 나는 오늘도 광야에서 또 다른 ‘해당 행위자, 내부총질러’들을 기다리겠다. 국민과 역사의 편에 설 진짜 용기 있는 그들을 말이다“라고 전했다.
jun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