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조성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울 용산에 있는 미국 대사관 부지 등이 용산공원으로 편입돼 용산공원 면적이 57만㎡ 넓어진다. 이에 따라 용산공원 면적은 243만㎡에서 300만㎡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25일 공청회를 개최했다. 국토부는 공청회를 거쳐 연말께 용산공원 경계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변경 계획안에 따르면 용산공원 부지는 기존 243만㎡에서 300만㎡로 약 57만㎡(23.5%) 커진다. 복합시설조성지구역 17만9000㎡, 공원주변지역 약 835만2000㎡ 등을 포함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전체 면적도 1153만2700여㎡로 넓어진다. 새로 편입될 부지는 방위사업청·군인아파트 자리, 미국대사관 부지와 직원 숙소 예정지다. 전쟁기념관은 지난해 추가 편입이 결정됐다. 이들 부지가 공원으로 편입되면 기존 공원과 생태적으로 연결된다.
전쟁기념관 북쪽과 미국대사관 부지 사이의 담장을 헐고 공원과 전쟁기념관으로 진입할 수 있는 광장도 만든다. 이 광장이 조성되면 한강대로~용산공원~이태원~남산을 잇는 새로운 연결축이 생긴다. 미국대사관 예정 부지 북쪽에도 새로운 진입 가로를 조성해 한강대로~후암동~남산을 연결하는 축이 형성된다. 공원 조성에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 등 새로운 기술도 접목한다. 공원과 대중교통 거점을 연결하는 무인 자율운행 셔틀도 운영한다.
◇“부지 개방 통해 시민공감 이끌어내야”
시민들은 온라인 유튜브를 통해 공청회에 참여해 공원조성에 대한 의견을 적극 개진했다. 시민들을 대표하는 국민참여단에서는 시민들을 위한 공원 조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부지 개방’을 더욱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담빈 국민참여단 청년 코디네이터는 “참여단분들께서 가장 많이 하는 얘기중 하나가 결국 시민들이 용산공원에 대해 더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용산공원이 조성된다는 사실부터 시작해서 세부적 진행과정과 계획에 대해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조 코디네이터는 “이 과정에서 부지 개방이 중요하다. 시민들이 직접 부지에 들어가서 공원을 경험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최근 미군 장관 숙소가 개방되면서 SNS에서 쉽게 보이듯 개방을 한 뒤 시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더 많은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튜브 댓글을 통해서도 기존 미군기지를 허물고 공원을 조성하기보다 이를 공원의 건축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한 네티즌은 “최근 개방한 부지가 사람들로 붐비는 이유는 공원이 좋아서라기보다 해외여행이 쉽지 않은 요즘 미군 장교주택이 이국적 풍경이라 SNS사진 찍어 올리면 색달라서가 아닐까 한다”면서 “공원 전체 혹은 부분을 기존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조경을 그대로 두는 건 어떨까 싶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미 기지 내에 자란 수목들이 있다고 들었는데 굳이 다 뽑아버리고 새로 인위적인 공원을 만드는 게 맞나 싶다”고 덧붙였다.
공원이 개방될 경우 교통 체증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주차장을 조성하되 보행자 중심의 공원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김세훈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조성계획안에서는 용산공원 주변에 4개정도의 주차 부지를 확보해 주차수요를 흡수한다는 큰 방향을 잡고 있다”며 “구체적인 주차대수 등은 현재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상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다만 큰 틀에서 용산공원에 접근하게 되는 차량이 개인차량은 아닐 것이라는 게 큰 방향이다. 큰 공원에 방문하고 이용하는 주고객이 개인차량인 시대는 저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에서도 도심부 안에 일반차량 운행을 최소화하고 주차요금을 현실화하고 녹색교통진흥지부를 마련해 시행 중에 있다. 보행자 중심의 도시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용산공원은 이런 노력의 끝단에 위치해 있다”면서 “다만 수도권과 서울시민만을 위한 공원은 아닌 만큼 비수도권의 광역교통망인 용산역에서 내리자마다 용산공원 서남 측으로 진입하는 보행축을 만드는 게 중요해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기본계획 변경 이후의 과정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는 “용산공원은 국가에서 만든 첫 공원이기도 한만큼 중요한 선례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민참여단이 얘기하고 이를 반영해 수정개정안 만드는 식으로 훌륭하게 진행 중에 있다”면서 “이 다음 걱정이다.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실행계획이 촘촘하지 않으면 굉장히 큰 땅이고 공공프로젝트인 만큼 지금까지 공공개발을 해오던 관성대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개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계획 마련도 주장됐다.
개발 과정에 있어서 생물종 다양성 보전의 문제도 거론됐다. 김 교수는 “탄소중립은 전세계적인 고민이다. 도심 공원은 탄소를 흡수하는 역할로 중요하다”면서도 “하지만 탄소중립과 탄소흡수 문제를 산술적으로만 계산해서 도시공원에서 그 수치를 줄이는 데에만 목표가 맞춰져 있으면 효율의 관점에서 공원이 이후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탄소중립은 중요한 이슈지만 왜 하게 되었는지 근본적 이유 성찰해봐야 한다. 이는 결국 생물종 다양성의 문제로 연결된다. 생물종 다양성이 보장되면서 탄소중립이 공존하는 방식으로 활용됐으면 싶다”고 주장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