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수)
경남연구원 ‘경상남도 물 관련 현안과 방향’ 인포그래픽스 발간

경남연구원 ‘경상남도 물 관련 현안과 방향’ 인포그래픽스 발간

기사승인 2022-06-21 19:16:54 업데이트 2022-06-21 19:41:45
경남연구원은 21일 인포그래픽스를 통해 ‘경상남도 물 관련 현안과 관리 방향’을 제시했다.

이용곤 선임연구위원과 구태검․최성진 전문연구원에 따르면 경상남도 수질은 수질환경기준으로 봤을 때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인 BOD는 전 지역 II등급 이상으로 나타났고, 총 인 T-P는 가화천 및 거제도 중권역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II등급 이상으로 나타났다.

수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어류 건강성지수(FAI)는 남강댐과 합천댐이 B등급으로 좋고 낙동밀양과 낙동강하구언 중권역이 D등급으로 가장 나쁘며, 낙동강 하류 지역으로 갈수록 나빠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가뭄예경보(기상, 생활 및 공업용수, 농업용수) 빈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밀양강 중권역으로 나타났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누적 홍수피해액은 낙동강남해 중권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주로 태풍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남도의 물 통합관리를 위해서는 중점관리 중권역 선정 및 맞춤형 집중관리가 필요하고 수질, 수생태, 가뭄, 홍수분야가 조화롭게 연계돼 물 관리 사업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통해 해당 유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다목적 맞춤형 물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용곤 선임연구위원은 "중점관리지역으로 합천창녕보, 낙동밀양, 회야강 중권역으로 나타났으며 4가지 요소 모두 관심단계로 나타난 남강댐 및 낙동창녕 중권역에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포그래픽스 원문은 경남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낙연의 변심, 결국 후배들도 등 돌렸다…신정현 새미래민주당 탈당

신정현 전 새로운미래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이 ‘새미래민주당’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지난해 12월 “이대로는 희망이 없다”며 ‘새로운미래’ 창당을 주도했던 신 전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당과 결별한 이유는 바로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이었다.신 전 위원장은 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의 새미래민주당은 그날의 창당 정신에서 너무나 멀어졌다”며 “반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