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일부터 시작한 ‘2023 동행축제’가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다. 정부에서 내수 진작 차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동행축제는 올해로 벌써 4년째에 접어들었다.
정부와 기업 등은 흥행몰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은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행축제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 판촉 행사로 오는 28일까지 진행된다. 참여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만 1만9000여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동행축제를 진행한 15일간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총 5775억원의 판매 실적을 달성했다. TV홈쇼핑과 O2O(온·오프라인 연계) 플랫폼, 정책매장 등에서 281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온라인 상품권은 1155억원이 팔렸다. 같은 기간 지역사랑상품권 판매액은 1802억원으로 집계됐다.
그간 동행축제는 동행세일이라는 명칭과 달리 ‘동행’의 의미를 살리지 못한 행사라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같은 지적들은 매년 행사 때마다 반복되는 만큼 고질적인 문제로 꼽힌다. 하지만 4년째를 맞는 지금까지 달라진 건 없다.
특히 전통시장 상인들은 동행축제의 효과를 체감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사업 규모가 작은 전통시장 상인의 경우 대형 유통업체들과의 할인 경쟁에서 이기기 힘든 구조다. 상품 판매량이 많지 않을 뿐더러 매입 단가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워 할인 폭을 크게 하기도, 마진을 남기기도 어렵다.
김진철 망원시장 상인회장은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이 느끼는 동행세일의 체감도나 효과는 전혀 없다. 세일을 할 여력도 없고 대형 유통업체만 이득을 보는 행사”라며 “힘없는 상인들이 돈을 벌게 해줘야 하는데 오히려 동행세일이라는 명목으로 전통시장과 자영업자를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영세상인 돕는 세일이 아닌 들러리 시키는 거나 마찬가지”라며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건 몇몇 시장에 한해 페이백 행사나 가능하다. 그것도 일부 대상으로 하는 건데 얼마나 도움이 되겠나. 지역사랑 상품권을 확대 발행하는 게 훨씬 효과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해마다 동행세일 해왔으나 변한 건 없다. 소상공인 입장에선 소비자에게 상품권을 할인해 나눠주고 상인들 물건을 사게 하는 게 훨씬 이롭다”면서 “지역사랑 상품권은 지역활성화는 물론 내수 효과가 일어나서 지역 붐업도 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할인 행사를 통한 소비 촉진보다 각 시장의 특성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중기부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기획전들을 통해 중소·소상공인 제품의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동행축제는 작년과 다르게 지역 축제와 연동을 해서 체험형·참여형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소비자들에게 동행축제라는 이미지로 각인될 수 있게 노력을 많이 했다”며 “지역에서도 동행축제 판촉전을 많이 열고 전통시장이나 백년가게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게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의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에는 “동행축제를 진행하는 기간 동안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모션을 확대해 보다 폭넓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중소상공인의 경우 온라인몰 기획전에 참여해 매출 증대를 꾀하는 경우가 꽤 있다”면서 “그 와중에도 편차는 발생한다. 특히 제품 판로를 넓히기 위한 루트가 생기는 건 잠재적으로 성장 가능성 있는 중소 기업들에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출이 기대에 못 미치는 부분도 있지만 그럴 수록 잘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주면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동종업계 한 관계자는 “전통시장은 규모의 경제라 할 수 없다. 전통시장 특성 상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세일을 한다고 해도 어려움이 존재한다”면서 “내수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기여는 되겠지만 매년 반복되는 이같은 행사가 전통시장에 실질적으로 어떤 도움을 준다고 보긴 힘들다”고 전했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