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일찍 끝난 인터넷은행...건전성 지표 ‘빨간불’

축제 일찍 끝난 인터넷은행...건전성 지표 ‘빨간불’

1분기 비교적 호실적 기록…연체율·NPL비율 등 건전성은 악화
중저신용자 대출비중 늘리면 건전성 나빠지는 ‘악순환’ 놓여…CSS고도화 해답될까

기사승인 2023-06-02 06:00:13
각사 제공.

케이·카카오·토스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1분기 실적이 모두 공개됐다. 케이뱅크를 제외한 카카오·토스뱅크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향상됐지만, 3사 모두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건전성 관리라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여기에 연말까지 달성하기로 제시한 중저신용대출 목표 비중도 숙제로 남아 해결 과제가 산적하게 됐다.

은행연합회 ‘2023년 1분기 은행 현황’ 공시에 따르면 올 1분기 인터넷전문은행 3개사들은 모두 4771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둬들였다. 

은행별로는 카카오뱅크가 262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이자이익은 1년전(2007억원) 대비 30.6% 급증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분기보다 24.9% 증가한 1029억원을, 토스뱅크는 1120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둬들였다. 토스뱅크는 작년 1분기 29억원 순이자손실에서 이익으로 돌아섰다. 지난해 1분기 28억7000만원의 순이자손실을 기록했던 토스뱅크는 1년만에 흑자로 전환된 것이다. 토스뱅크의 여신잔액은 2조5900억원에서 9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인터넷은행의 이자마진이 크게 늘어나면서 당기순이익도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대출자산 증가에 힘입어 올 1분기 10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2.5% 늘어난 수준으로 역대 최대 분기 순이익이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1분기(654억원 손실)에 이어 올해 1분기 28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다만 인터넷은행이 출범한 이후 약 2년에서 4년 사이 당기순이익 흑자로 전환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연내 흑자전환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유일하게 케이뱅크는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 케이뱅크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0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다. 이에 대해 케이뱅크에서는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늘어난 충당금 적립에 영향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올해 1분기 케이뱅크의 충당금 적립액은 602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196억 원보다 약 3배 늘었다.

이처럼 이자수익과 당기순이익만 보면 인터넷은행 3사 모두 괜찮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지만, 찬찬히 뜯어보면 상황은 생각보다 좋지 않다. 우선 연체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인터넷은행 출범 취지가 중저신용자대출 보급인 만큼 3사 모두 중저신용자 대출비중을 늘려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기조로 인해 연체율이 상승한 것이다.

토스뱅크의 먼저 1분기 연체율은 1.32%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확대됐다. 케이뱅크 연체율은 0.82%로 작년 1분기보다 0.38%p 높아졌다.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같은기간 0.26%에서 0.58%로 0.38%p 증가했다. 같은 1금융권으로 분류되는 시중은행의 1분기 연체율이 0.1~0.2% 수준이고, 지방은행 연체율도 0.5%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토스뱅크 1.04%, 케이뱅크 0.94%, 카카오뱅크 0.43%를 기록하며 상승 곡선을 그렸다. 토스뱅크의 NPL비율은 지난해 1분기 대비 0.51%p, 케이뱅크는 0.30%p, 카카오뱅크는 0.18%p 올랐다.

이처럼 자본건전성이 악화되면서 인터넷은행들은 충당금을 당초 계획보다 많이 쌓으며 선제적인 리스크 대응에 나서고 있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는 지난해 1분기의 3배를 웃도는 772억원, 612억원을 각각 충당금으로 적립했다. 카카오뱅크의 충당금전입액은 5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7% 확대됐다.

여기에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의무적으로 확대해야 하는 인터넷은행의 특성이 발목을 잡는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말까지 30%, 케이뱅크는 32%, 토스뱅크는 44%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 1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25.7%, 케이뱅크 23.9%, 토스뱅크 42.06%를 기록하고 있다. 고금리 기조 속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리면 건전성이 악화되고, 악화된 건전성에 맞춰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악순환에 놓인 것이다.

그렇다고 비중을 낮출 수 도 없다. 인터넷은행들은 지난 3월 금융당국에 건전성 악화에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완화해달라고 건의한 바 있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새로운 대안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는 것이 도입취지이자 설립당시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율이 계속해서 올라가는 상황에서 지난해보다 더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맞춰야 하는 과제로 인해 인터넷은행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며 “결국엔 CSS를 고도화해 건실한 중·저신용자를 더 많이 발굴해내는 게 당장의 과제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