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주택이 11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역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정부 규제 완화로 서울 미분양 물량은 줄었지만 영남 등 일부 지방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365세대로 3월보다 1.0%(739호) 소폭 감소했다. 서울은 3월 대비 2.4%(1058세대) 줄었고 지방은 2.2% 감소한 5만9756호로 집계됐다.
하지만 미분양 물량 자체는 7만 세대가 쌓이면서 건설사 부담은 커지고 있다. 올해도 냉랭한 시장 여파로 청약 미달도 속출하고 있다. 전국 1분기 분양단지 34개 곳 중 1·2순위 내에 청약이 마감된 곳은 13곳으로 38.2%에 그쳤다. 이 가운데 21개 단지는 2순위에서도 모집가구수를 채우지 못했다.
특히 대구 등 일부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쌓여가고 있다. 대구의 미분양은 1만3028세대로 전월 대비 1.3% 줄었지만, 지방 미분양 물량 중 21%를 차지한다. 올해 대구의 입주 물량도 쏟아지고 있어 미분양 해소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올해 대구의 입주 예정 물량은 3만4419세대다. 대구의 적정 수요가 1만1789호 대비 3배 많은 수준이다. 내년은 2만1175세대가, 내후년에는 1만192세대가 분양될 예정이다.
미분양 여파로 문을 닫는 중소건설사도 속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폐업한 종합건설업체는 826곳으로 전년 동기 28.7%(642곳) 늘었다.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도 증가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부도난 건설업체는 총 5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곳이 증가했다고 했다.
건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15.4%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산업 파급효과가 크기에 미분양 문량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건설사의 대금 회수 불확실성 증가뿐만 아니라 금융권 부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분양률이 70%에 못 미치는 지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울산, 전북, 충남, 대구 등 평균 분양률은 50% 미만으로 가장 부담이 높은 지역이다. 특히 울산 평균 분양률은 20% 정도"라며 "크레딧 관점에서 분양 경기가 저하된 지역 사업을 진행 중인 건설사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