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여야 법사위서 ‘故 채 상병 사건’ 대립…“수사단장 항명” vs “외압 의혹”

여야 법사위서 ‘故 채 상병 사건’ 대립…“수사단장 항명” vs “외압 의혹”

박형수 “사령관 이첩 번복하지 않았는데 한 것은 항명”
김영배 “1사단장 보호 위해 대통령실·장관 개입 의심”

기사승인 2023-08-21 16:40:36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故 채 상병 사망 사건’ 현안질의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윤상호 기자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가 ‘고(故) 채 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대립했다. 국민의힘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사건 이첩에 대해 항명이라고 지적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수사 외압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박 전 단장의 사건 이첩에 대해 비판했다.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21일 국회에서 법사위 전체회의 현안질의를 통해 “이 장관이 채 상병 사건 이첩에 대해 보류 결정을 내린 후 해당 지시가 박 전 단장에게 제대로 전달됐냐”고 질의했다.

이에 신범철 국방부 차관은 “해병대가 회의 이후 명확히 전달했다고 발표했다”며 “(이첩건에 대해) 개인적 평가는 부적절하다. 그렇지만 분명히 해병대가 전달했다고 사령부 차원에서 보도자료를 냈다”고 답변했다.

조 의원은 이후 “군인이 허가 없는 언론 인터뷰를 할 수 없지 않냐. 박 전 수사단장이 이 같은 군법을 모를 수 없지 않냐”고 질문했다. 이에 신 차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도 “이첩 보류 지시가 잘못됐다면 이 장관 (해외) 복귀 후 정당 절차를 통해 문제를 제기해야 했다”며 “갑자기 방송에 나가서 인터뷰하는 게 군인이 해야 할 명예로운 모습인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 역시 “박 전 단장이 참석한 참모 회의에서 해병대 사령관이 이첩 보류를 지시한 뒤 그 지시를 번복하지 않았는데도 이첩을 했다면 항명”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와 관련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박용진 민주당 의원은 이날 회의 현안질의에서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게 “박 전 수사단장 측에서 얘기하는 외압에 대해서 한 적 없냐”고 물었다. 유 관리관이 “한 적 없다”고 답하자 박 의원은 “그쪽에서 그렇게 느끼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박 의원이 신 차관에게 대통령실 지시 여부 등에 대해 묻자 신 차관은 “통신기록 등을 언론에 공개했고 다른 메신저를 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 보호를 위해 대통령실과 장관 등의 개입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정황들이 많다”고 밝혔다.

박주민 민주당 의원 또한 “박 전 단장 입장에선 혐의를 기재해서 넘겼는데 갑자기 혐의를 기재하지 말라는 건 외압으로 느낄 수 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방부 조사본부는 이날 해병대 수수단의 채 상병 사망 사건 조사기록을 재검토하고 사고 현장에 있던 중위‧상사 등 초급간부 2명을 혐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 임성근 1사단장 등 4명에 대해 혐의를 특정하지 않고 사실관계 적시 후 경찰에 이첩하기로 했다.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윤상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주워도 끝이 없다...” 죽음의 덫 줍는 다이버들

얽히고설킨 폐어구 3채, 에기(흰오징어를 낚는 일본의 전통 어로 도구) 8개, 페트병 4개, 삭은 장화, 단조 팩, 스티로폼 조각, 장난감 삽, 구슬 장식, 타프 꼬리표, 일회용 라이터.바다는 매일 같이 쓰레기를 삼킨다. 그리고 그것을 꺼내는 일은 누군가의 하루를 고스란히 앗아간다. 지난 27일 '물 좋은 감자들(이하 감자들)'은 강원도 고성군 송지호해변 일원에서 수중 해양정화 작업을 벌였다. 잠수복을 입고 마스크, 스노클, 오리발을 갖춘 채 물에 들어간 회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