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법무부, ‘살인예고’ 작성 시 손해배상 소송 제기한다

법무부, ‘살인예고’ 작성 시 손해배상 소송 제기한다

기사승인 2023-08-24 18:17:58
한동훈 법무부 장관.   사진=임형택 기자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지난 7월 신림역과 분당 서현역 묻지마 칼부림 이후 전국에서 살인예고 글이 올라온 가운데 정부가 엄벌을 처하기로 결정했다.

24일 법무부는 “경찰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해 살인예고글 게시자에 대해 민사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적극 제기하겠다”며 “공권력 낭비로 인해 초래된 혈세 상당액의 배상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살인예고글이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대규모 경찰력 투입 등 공권력 낭비를 초래한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9시까지 살인예고 글 462건 중 작성자 216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21명을 구속했다.

법무부는 인터넷에 글을 올려 살인을 예고하는 행위는 “경위와 동기·실제 실행 의사·행위자의 연령 등을 불문하고 민사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법원은 허위신고로 경찰관이 출동한 경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법무부는 불특정 다수에 무차별적 범죄를 예고하는 행위에 대해 ‘공중협박죄’를 신설하는 형법 개정도 추진 중이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살인예고글 게시는 국민들을 불안에 빠뜨리고 공권력의 적정한 행사를 방해하는 중대 범죄”라며 “형사책임뿐 아니라 민사책임까지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