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가정 및 외부 전문기관과의 적극적인 연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업 중심의 정책에서 학생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 발표한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서울 교사의 요구도 분석’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은 모든 학교급에서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우선순위 과제로 ‘학부모(보호자) 상담 및 교육’을 꼽았다. 전체 22개 항목 가운데 초등학교 학습지원 담당 교사들은 ‘학부모 상담 및 교육’을 1순위로,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3순위와 4순위로 선정했다. 해당 조사는 서울 관내 학교 기초학력 담당교사 99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기초학력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충족하는 학력을 말한다. 여기서 최소한의 성취 기준은 ‘국어, 수학 등 교과의 내용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읽기·쓰기·셈하기를 포함하는 기초적인 지식, 기능 등’이라 정의하고 있다.
기초학력에 대한 우려는 2016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온 문제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지속되며 학습결손, 교육격차가 극대화되며 이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지난 2021년 기초학력에 대한 국가의 공적 책무를 확대하고, 국가가 이를 보장한다는 ‘기초학력보장법’이 제정된 것이다.
현장교사들의 목소리를 들은 전문가들은 기초학력 보장 정책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급별 특성에 맞는 지원정책 △성장 이력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가정과의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김명희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과 이창묵 강원대학교 연구교수는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밖 연계 지원을, 중학교에서는 교육청 단위의 전문 진단 등 학교 밖 지원을, 고등학교에서는 전문진단 및 역량 강화 요구가 컸다”며 “그동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편성된 기초학력보장 정책을 중학교 이상의 학교급에 맞는 지원 보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초학력 부진이 누적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학생의 성장 이력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김 연구위원과 이 교수는 “중학교 기초학력 담당 교사들이 학교급별 연계 요구가 다른 학교보다 높았다. 이는 중학교 단계에서 겪는 기초학력 어려움은 초등 단계에서 누적되는 부분도 크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으로 기존 나이스 시스템이나 별도의 플랫폼을 통해 학생의 기초학력 관리를 해야한다”고 부연했다.
전문가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학부모와 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과 이 교수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부모의 지원과 협조를 많이 얻어낼수록 기초학력 미달 확률이 낮아졌다”며 “교원들도 학부모 상담과 교육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정책으로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학부모교육을 통해 기초학력 부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한다”며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엔서 별도의 안내 및 연수 등을 기획해 학부모 교육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민지 기자 mj@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