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연이은 공장 대형 화재...밀집·노후·방관이 빚은 참사

수도권 연이은 공장 대형 화재...밀집·노후·방관이 빚은 참사

기사승인 2024-06-25 15:54:29
경기 화성시 서신면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전날(24일) 오전 10시30분께 화재가 발생해 소방대원들이 이를 진압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이번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망사고와 더불어 최근 몇 년간 경기도 소재 물류·창고시설에서 대형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도 차원의 예방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전날 경기 화성시 서신면 소재 아리셀 공장에서 리튬 배터리에 불이 붙어 발생한 화재 사고로 중국인 근로자 17명, 라오스 국적 1명, 한국인 5명 등 총 23명이 사망했다.

이번 사고는 2020년 4월29일 발생한 경기 이천 물류창고 공사 현장 화재 이후 최대 화재 참사로 기록될 전망이다. 당시 지하에서 시작된 화재가 샌드위치 패널을 타고 급속히 확산되면서 38명이 사망했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 

불과 3개월 뒤인 2020년 7월21일에는 경기 용인 SLC 물류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해 5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입었다. 해당 물류창고는 2017년에도 흙막이가 무너져 10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바 있다.

이듬해인 2021년 6월17일에는 경기 이천 쿠팡 덕평물류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순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덕평물류센터는 화재 발생 4개월 전인 2021년 2월 진행된 소방시설 종합정밀점검에서 총 277건의 지적사항을 받았지만 화재를 예방하지 못했다.

2022년 1월5일에는 경기 평택 냉동창고 신축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를 진압하던 소방관 3명이 순직하는 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 

경기 화성시 서신면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전날(24일) 오전 10시30분께 화재가 발생해 23명이 사망했다.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 후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곽경근 대기자 

이처럼 최근 몇 년간 경기도 소재 물류·창고시설 등에서 대형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공장시설 15만2608개소 중 경기도 소재 공장시설은 5만5697개소(경기북부 1만7591개소, 경기남부 3만8106개소)로, 3분의 1에 달한다. 창고시설도 전국 11만983개소 중 2만7323개소(경기북부 9249개소, 경기남부 1만8074개소)로, 전국 상위권에 속한다.

수도권과 인접해 있어 시설 자체가 많아 화재 사고를 막기엔 규모 측면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덕평물류센터 등 이미 지적받은 부분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법을 개정하고도 소급 적용되지 않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관리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화성공장 화재 역시 경기 이천 물류창고와 유사한 샌드위치 패널 벽면이 화재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알루미늄 등 합금으로 만든 외부 강판 사이에 우레탄폼·스티로폼 등 단열재를 넣은 건축 재료로, 저렴하고 시공 방법이 간단하며 단열·방음 기능이 좋지만 화재에 취약하고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2022년 샌드위치 패널 등 복합 자재는 방화 성능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건축법이 시행됐지만, 소급 적용이 불가해 기존 건물에는 예외로 적용됐다. 화성공장은 기존 건물에 해당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화성공장 화재 발생 직후 현장을 찾아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해 달라”면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소방대원들의 안전에도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당부했다.

김 도지사는 이어 “도내 배터리 생산업체에 대해 긴급 점검을 시행하겠다”면서 “에너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및 리튬배터리 사업장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공하성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경기도에 공장이 다수 밀집돼 있는 것이 높은 사고 빈도수로 이어지는 것도 있지만, 1차적으로 세밀한 안전규제를 마련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국민 안전의식 향상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지금의 대책들은 형식적인 지적·규제들로만 이뤄지고 있다”면서 “법을 개정하고 규제를 강화했음에도 소급 적용이 되지 않아 옛날 건물에서 이 같은 사고들이 이어지고 있어 사각지대도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공 교수는 이어 “안전의식이 높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이나 규제를 해봤자 이것을 피하려고만 할 것”이라며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고급 소방시설 설치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화재 예방이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등 전반적으로 올바른 의식이 자리잡을 수 있는 대책들이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