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30일 (일)
여성 담배사용률 지속 증가…전자담배 비율 2배 늘었다

여성 담배사용률 지속 증가…전자담배 비율 2배 늘었다

질병청, 지자체별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현황 발표
“전자담배, 일반담배만큼 건강위험 커 금연해야”

기사승인 2024-08-27 12:00:04
담배 진열대. 연합뉴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지난해 여성 담배 사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비율이 2배 늘었다.

질병관리청은 27일 2019~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최근 전자담배 사용률의 증가세 및 일반담배와 전자담배 사용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현황을 지자체별로 발표했다. 질병청은 17개 광역자치단체, 258개 보건소, 34개 지역대학과 함께 매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023년 22.2%로 5년 전인 2019년 21.6% 대비 0.6%p 증가했다. 일반담배(궐련)의 현재흡연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전자담배(액상형 또는 궐련형)의 현재사용률은 2023년 8.1%로 5년 전과 비교해 3.0%p 올랐다.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성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지난해 39.9%로 5년 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일반담배 현재흡연율은 36.1%로, 5년 전 37.4% 대비 1.3%p 줄었다. 전자담배 현재사용률은 14.2%로 2019년(9.4%)보다 4.8%p 늘었다.

여성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다. 현재사용률은 2023년 4.9%로 5년 전 3.2% 대비 1.7%p 증가했다. 일반담배 현재흡연율은 2023년 4.0%, 전자담배는 2.1%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과 비교해 각각 1.0%p,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남성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40대에서 47.8%로 가장 높았다.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8.9%를 기록한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역시 연령이 증가할수록 하락했다. 

지난해 시‧도별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충북에서 25.0%로 가장 높게 나왔고, 세종은 14.8%로 가장 낮게 집계됐다. 17개 시‧도 중 전년 대비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이 악화된 시‧도는 6개로 강원(1.8%p↑), 충북(1.6%p↑), 충남(1.4%p↑) 순이었으며, 개선된 시‧도는 11개로 세종‧제주(3.2%p↓), 인천(2.3%p↓), 경남(1.0%p↓)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2021∼2023년) 평균을 측정한 시‧군‧구별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인천 미추홀구(29.2%), 경기 포천시(28.3%), 충북 증평군(27.9%) 순으로 높았고, 경기 과천시(13.8%), 경기 성남시 분당구(14.0%), 경기 수원시 영통구(15.8%) 순으로 낮았다. 가장 높은 인천 미추홀구와 가장 낮은 경기 과천시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차이는 15.4%p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청장 “전체 담배제품 사용률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자담배 사용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여성의 흡연율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전자담배 또한 일반담배처럼 호흡기·심뇌혈관질환 등 건강 악영향이 크고, 니코틴 등 중독성이 강한 물질과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연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각 지역 보건소는 금연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클리닉 참여를 통해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런 류는 처음입니다만…가감 없는 넥슨 ‘카잔’

“골디락스 존에 안착한 게임.”넥슨이 28일 글로벌 정식 출시한 ‘퍼스트 버서커: 카잔(카잔)’을 해 본 소감이다. 골디락스 존이란 동화에서 유래한 용어로, 너무 뜨겁지도, 춥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아가기 적합한 환경을 지닌 우주 공간을 뜻한다.카잔은 콘솔로 소울류 게임을 처음 해보는 사람은 물론, 이런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도 만족시키는 게임일 듯하다. 더불어 ‘던전앤파이터(던파)’ 세계관을 모르는 사람도, 좋아하는 사람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