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해외직구 증가에 재고화물 4년새 3배 늘어…50만건 이상 폐기

해외직구 증가에 재고화물 4년새 3배 늘어…50만건 이상 폐기

기사승인 2024-10-15 11:11:18
사진=곽경근 대기자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중국 등 해외 직접구매가 늘면서 보세구역에 쌓인 재고품 수도 4년 새 3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관됐다가 폐기되는 물품은 연간 50만건이 넘었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오기형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체화물품은 지난해 63만7000건으로 4년 전인 2019년(19만6000건)보다 224.5% 늘었다.

체화물품은 보세구역에서 보관 기관이 지난 물품을 말한다. 정식 수입이나 우편물, 여행자 휴대품 등을 통해 반입하려다가 국경 단계에서 보류된 물품들이다.

체화물품은 2019년 19만6000건, 2020년 18만4000건 등으로 20만을 밑돌았지만 2021년 23만1000건, 2022년 69만8000건 등으로 급증했다.

이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직구 이용이 늘면서 체화물품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체화물품 가운데 해외직구 물품 등 특송화물은 지난해 59만9000건으로 4년 전(4만6000건)보다 1213.1% 급증했다.

특송화물이 전체 체화물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23.3%에서 지난해 94.2%로 커졌다.

특히 중국산 특송화물이 같은 기간 2019년 7000건에서 지난해 54만1000건으로 7515.7% 늘면서, 전체 체화물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에서 85.1%로 커졌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체화물품은 33만1000건이다. 이중 특송화물은 29만9000건(비중 90.2%), 중국산 특송화물은 26만1000건(78.6%)이다.

체화물품이 늘면서 폐기되는 물품 수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폐기 물품은 55만4000건으로 4년 전보다 197.4% 급증했다.

폐기 물품은 2019년 18만6000건, 2020년 12만8000건에 머물렀으나, 2021년 23만3000건, 2022년 55만1000건 등으로 늘었다.

화주가 불분명한 체화 물품 등의 경우 정부 예산으로 폐기해야 한다. 정부가 체화물품을 포함해 밀수품 등까지 보세화물을 폐기하는 비용은 연간 3∼4억원이다.

오기형 의원은 “체화물품은 보세구역의 물류 흐름을 방해하고 보관, 폐기, 반송 등에 부대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체화물품 감축 및 공매 낙찰률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무적함대’ 젠지, 16연승 질주…MSI 1시드 결정전 직행

‘무적함대’ 젠지가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개막 16연승을 질주했다.젠지는 23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 16연승을 달린 젠지는 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1시드 결정전 직행을 확정했다. 반면 DRX는 이날 패배로 ‘로드 투 MSI’ 진출에 실패하며 3~5라운드를 라이즈 그룹에서 치르게 됐다.젠지가 1세트 초반부터 DRX를 압박했다. 바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