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료 현장을 지키는 공중보건의사들이 “더 이상 대한민국에 공중보건의사는 없다”며 정부를 향해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 중단 결단을 내리라고 촉구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는 10일 호소문을 통해 “정치와 선거용으로 만들어낸 허상의 의료공백이 아니라 실재하는 진짜 의료공백이 온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공협은 “공중보건의사이자 대한민국 정부의 공무원으로서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말한다”며 “현역 입대한 의대생은 이미 8월에 1000명이 넘어갔다. 의대생 24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70.5%는 현역 복무를 계획했다. 전공의들의 입대가 시작되고 나면 군의료 자원은 더 이상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순간도 공중보건의사들은 격오지 최전선에서 의료 빈틈을 메운다는 사명감으로 일한다. 대한민국 최남단 가거도와 최서단 백령도에서도, 또 전국 곳곳 교도소들과 수십 개의 섬을 지키는 병원선에서 굳건히 존재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더 이상 대한민국에 공중보건의사는 없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발표된 ‘전공의 등 미복귀 의료인 처단’ 포고령을 두고선 “계엄령 이전 이미 청년 공중보건의사들은 정부에 의해 계엄군처럼 다뤄졌다”고 비판했다. 대공협은 “법적 보호와 업무에 대한 가이드라인조차 없이 하루 내지 이틀의 교육 이후 바로 현장으로 투입돼 주 80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는 단서 하에 수당까지 장기간 미지급됐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전공의를 콕 집어 처단한다던 폭압적인 대통령의 의료개혁은 이제 없다”며 “갈등 이전의 대한민국 의료는 이미 훌륭했으며 든든한 의료가 곧 민생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