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2/kuk20250212000338.800x.0.jpg)
전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여객기 참사 수습에 1002명의 소방공무원이 동원됐으며, 이 중 243명(24.3%)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공무원 중 52명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치료군이고, 191명은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한 관심군으로 분류됐다.
전남도의회 나광국(무안2, 민주) 의원은 지난 7일 전라남도 소방본부 소관 업무보고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에 투입된 소방공무원에 대한 심리치료 및 휴가 확대 등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나 의원은 “소방본부에서도 자체적인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번 참사에서 겪은 심각성을 고려하면 더 넓고 두텁게 지원해 실질적으로 치유를 도와야 한다”며, 이들을 위한 휴가 확대, 정신건강 전문 치료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안했다.
오승훈 전남소방본부장은 “소방청과 전남소방본부에서 치료군 52명을 위한 자체 심리치료 및 외부 위탁치료를 병행할 예정이며, 관심군을 위한 심리상담, 각종 힐링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또 “사고 수습 과정에서 지친 소방공무원의 심신을 달래기 위한 심리 안정 휴가를 제공하는 등 치유와 회복을 위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data/kuk/image/2025/02/12/kuk20250212000339.800x.0.jpg)
임지락(화순1, 민주) 의원은 보건복지국 업무보고에서 “전라남도는 사고 유가족분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심리 회복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의 충격은 단기간에 사라지지 않으며, 일상생활로 돌아온 후에도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유가족분들과 관계자들이 건강하게 일상생활에 적응하고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맞춤형 심리 지원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상심 보건복지국장은 “유가족 뿐만아니라 도민들과 상담이 필요한 사람들이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24시간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를 운영하겠다.”고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