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통영시청 강당에서 열린 ‘도민 상생토크’에 참석한 주민들이 박완수 경남도지사에게 지역 현안과 정책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직접 전달했다.
‘도민 상생토크’는 도민과의 쌍방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새롭게 도입된 프로그램으로, 도지사가 직접 지역을 찾아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박완수 도지사를 비롯해 천영기 통영시장과 지역 주민 260여 명이 함께했다.
박 지사는 통영을 남해안 관광 개발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을 설명하며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과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 사업 추진을 강조했다.

이날 주민들은 해양레저관광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1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남해안의 해양자원과 재정, 민간투자를 접목해 해양레저관광도시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공모는 2025년 1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이후 5월 공모평가, 6월 공모선정, 11월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추진될 예정이다.
농어업인수당 지원사업과 관련해 신청 절차 간소화와 효율적 업무 처리를 위한 ‘자격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이 제안됐다.
이외에도 △여성농업인 바우처 지원사업 대상 확대 △벽지노선 지원 확대 △한산대첩교 조기 착공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한편 박 지사는 이날 통영 도산면에 위치한 수산식품산업 거점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수산식품산업 거점센터’는 기존의 수산물 포획·판매 중심 구조를 넘어, 가공산업으로의 확장을 통해 수산식품산업을 고도화하는 역할을 한다. 시제공장, 실험분석실, 제품개발실 등 연구개발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지역 내 수산물 가공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임대공장 3개소와 창업사무실 5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박완수 지사는 "기후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경남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활용해 경쟁력 있는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전국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보 승격 기념식 개최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18일 합천 해인사성보박물관에서 지난해 12월 26일 국보로 승격 지정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의 국보 승격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와 해인사 주지 혜일스님을 비롯한 여러 대덕 스님,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신성범 국회의원, 김윤철 합천군수 등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삼귀의례, 헌화, 기념사, 축사, 지정서 전달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국보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화면 하단의 화기(畵記)를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수화승인 의겸(義謙)을 비롯한 여러 화승들이 제작에 참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 불화의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제자들의 얼굴 표현과 세부 문양에서는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경남도는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보 지정으로 18건의 국보를 보유하게 됐으며 도내 소재하는 우수한 문화유산들이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지정유산으로 승격 지정돼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경상남도, ‘경남도민연금’ 도입 박차
경상남도는 2월 18일부터 24일까지 일주일간 ‘경남도민연금’ 도입을 위한 도민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가입 의향, 적정 지원금 수준, 가입 대상 범위 등을 중점적으로 파악해 도입안 마련에 반영할 방침이다.
‘경남도민연금’은 도민이 은퇴 후 소득 공백기에도 안정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금융기관의 개인형퇴직연금(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을 활용해 운영한다. 도민이 매월 일정 금액 이상을 납입하면 경남도에서 재정지원 등을 통해 소득 공백기 대비와 노후 준비를 돕는 방식이다.

지난 1월 20일 경남도민연금 도입 정책 브리핑 이후 도민뿐만 아니라 타 지방자치단체, 기관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에 경남도는 도입 계획안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조속히 확정하기 위해 도민 의견을 수렴한다.
설문조사는 2월 18일부터 24일까지 일주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설문 참여를 원하는 도민은 설문조사 기간 내 경상남도 공식 SNS 채널(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채널, 네이버 블로그)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한편 경남도는 ‘경남도민연금’의 성공적 도입으로 도민의 소득 공백기와 노후 대비를 지원하고, 민선 8기 후반기 핵심 가치인 ‘함께 여는 도민 행복시대’를 실현할 계획이다.
◆경상남도, 우주항공청 이주직원 정착 지원 본격 개시
경상남도는 경남으로 이주한 우주항공청 직원의 조기 정착을 지원하고 가족 동반 이주를 장려하기 위해 가족 이주정착금, 자녀장학금, 양육지원금을 오는 2월 말부터 신청자에게 본격적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타 시도에서 이주해온 우주항공청 직원의 동반가족은 △가족 이주정착금으로 동반가족 1인당 200만원(최대 800만원) △자녀장학금으로 초·중·고 자녀 1인당 월 50만원(최대 2년) △양육지원금으로 미취학 자녀 1인당 월 50만원(최대 2년)을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진주시와 사천시에서도 이주정착금과 자녀장학금을 지급한다. 특히 진주 또는 사천시에서 지급하는 이주정착금은 가족뿐만 아니라 우주항공청 직원 본인도 지급 대상에 포함돼 안정적 경남 정착에 힘이 될 전망이다.

예를 들어 초중고 자녀 2명 및 배우자와 함께 이주해온 4인 가족 직원이 도와 진주 또는 사천시로부터 받는 지원금은 총 4100만원에 달하게 되는데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의 혜택이다.
지원 대상은 2년 이상 계속해 타 시도에 거주하다가 우주항공청 개청 일로부터 3년 이내 경남도로 전입(주민등록)해 6개월 이상 거주한 동반가족이다. 자녀장학금은 경남도 소재 학교에 6개월 이상 재학한 자녀에 한해 지원된다.
지원 기간은 우주항공청 개청 일로부터 3년(2024.5.27~2027.5.27)이며 신청 기한은 지원요건을 충족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하면 된다.
다만, 지원금을 받은 자가 6개월 이내에 경남도 외의 지역으로 전출하면 지원금은 전액 환수된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5월 27일 우주항공청 개청을 앞두고 우주항공청 정주여건 개선 지원계획을 마련했고, 하반기에는 경남도로 전입한 직원 대상으로 10만 원 상당의 직원 이주정착금(웰컴 제로페이)을 지급했다.
◆경상남도, 2년 연속 외국인 계절근로자 운영 우수 최다 시군 선정
파종기·수확기 등 계절적으로 발생하는 농·어촌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운영 중인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운영 우수 시군으로 경남 도내 16개 시군이 법무부로부터 선정됐다.
지난해 경남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개 시군이 선정된 바 있으며 올해는 1개 시군이 늘어난 16개 시군이 선정돼 2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많이 선정됐다.
선정 기준은 법무부에서 최근 3년('22~'24년)간 해외입국자의 평균 무단이탈률 이 5% 미만인 지자체를 우수 시군으로 결정한다.

우수 지자체 선정되면 해당 시군의 고용주는 계절근로자 기본 최대 9명에서 2명씩 추가 고용이 가능해져 농업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될 전망이며 계절근로자는 본국에서의 농어업 종사 입증서류가 면제되므로 비자발급 소요기간이 단축되어 농업 현장에 인력이 신속하게 투입될 수 있다.
경남도는 지난 3년간 계절근로자의 안정적인 정착과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으며 2022년부터 도 자체 계절근로자 근로편익 지원사업을 추진하면서 통역 지원 및 애로사항 등을 모니터링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소해 나갔다.
농작업 재해안전망 구축을 위해 산재⋅질병 보험료, 냉온피해 예방 용품 등도 적재적소에 지원해 왔다.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과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계절근로자 기숙사 건립도 착실히 진행 중이다. 지난해 준공된 함양, 거창은 올해부터 기숙사를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올해 봄에는 하동 기숙사가 준공 예정이며, 올해 안에 밀양(하남), 산청은 각각 착공 예정이다. 내년도 착공을 목표로 밀양(무안), 함양도 사전 행정절차를 착실히 이행하고 있다.
경남도의 이번 성과는 도, 시군과 농어업인이 협력해 계절근로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국내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환영행사 및 지역민과 화합행사, 한국문화 교육과 기숙사 건립 등 한국사회 적응 기반을 착실히 구축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 결과, 도 전체 계절근로자 무단이탈률이 '22년 6.6%, '23년 1.6%, '24년 0.8%로 매년 큰 폭으로 감소했고 3개년 평균 무단이탈률 1.4%로 전국에서 최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