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1등급 병원 60% 수도권에 집중…전남은 ‘0’

혈액투석 1등급 병원 60% 수도권에 집중…전남은 ‘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공개

기사승인 2025-02-20 15:52:3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경. 쿠키뉴스 자료사진

혈액투석 치료가 우수한 의료기관 110곳 중 절반 이상인 67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2023년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을 통해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평가가 이뤄진 대상은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혈액투석 청구가 발생한 의원급 이상 972개 요양기관이다.

혈액투석은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경우 노폐물 제거와 수분 조절을 기계가 대신하는 치료로, 주로 말기 신장질환 환자들이 받는다.

혈액투석 환자는 노령 인구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느는 추세다. 2023년 혈액투석 평가 대상 환자 수는 4만3664명이었다. 첫 적정성 평가를 실시한 2009년(1만7720명)과 비교해 2만5944명 증가했다.

평가 결과 종합점수가 산출된 972기관 중 95점 이상 1등급 기관은 110개로 11.3%였다. 1등급 기관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권 35곳, 경인권 32곳, 경상권 21곳, 충정권 12곳, 전라권 5곳, 강원권 4곳, 제주권 1곳이다. 서울의 경우 평가 대상 180개 기관 중 1등급 비중이 19.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전남은 평가 대상 46곳 중 1등급 기관이 한 곳도 없었다.

85점 이상 95점 미만인 2등급 기관은 361곳(37.1%)으로 등급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이하 3등급 289기관(29.7%), 4등급 139기관(14.3%), 5등급 73기관(7.5%) 순으로 파악됐다.

종합점수는 평균 82.4점으로 2020년 10월에서 2021년 3월 진료분인 지난 차수(1주기 7차)와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상급종합병원 95.8점, 종합병원 85.6점, 의원 82.0점 순이다. 지난 차수 종합점수는 84.5점이었다. 

구조 영역을 보면 혈액투석 전문의사의 비중은 2021년 73.8%에서 2023년 75.0%로 1.2%p 늘었다. 혈액투석 간호사 비율(76.3%)과 수질검사 실시 주기 충족 여부(94.7%)도 각각 1.6%p, 3.7%p 올랐다. 의사 1인 평균 투석 건수(25.4건), 간호사 1인당 평균 투석 건수(4.9건)는 각각 0.6건, 0.4건 줄었다.

전미주 심평원 평가운영실장은 “차기 평가에서는 외래영역뿐만 아니라 입원영역을 아우르는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공개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추진하는 등 환자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