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통계로 입증됐다. 지난 5년간 금품 수수로 징계를 받은 경찰이 가장 많은 경찰서가 강남서로 나타난 것이다.
본보가 6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2004년부터 지난 2월까지 서울지방경찰청 산하 31개 경찰서의 금품 수수 징계 통계를 받은 결과, 총 157건의 징계 가운데 강남경찰서가 14건을 기록해 징계 건수가 제일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징계 수위별로는 파면 4건, 해임 1건, 정직 2건, 감봉 3건, 견책4건으로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되는 중징계(파면·해임) 비중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3월 해임·파면된 강남서 경찰 6명까지 더하면 징계 건수는 20건이 된다. 징계 건수가 1건에 그친 경찰서가 4곳이나 되는 점을 감안하면 ‘물 좋은 강남’이라는 비판을 받을 만한 상황이다.
강남 지역에서 금품 수수 징계가 많은 것은 유흥업소 업주들의 집요한 접근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역 전반 사정을 꿰뚫고 있는 업주들은 각종 경조사를 찾아다니며 큰 돈을 내거나 회식비를 대신 내는 식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서의 한 경찰관은 “경찰도 사람을 많이 대할수 밖에 없는 안면 장사인데 악의적으로 이용해 접근하는 업주들이 있다”며 “업주들은 몇 억씩 투자해서 가게 내고 장사하는데 (단속) 위험이 있으니까 가만히 있지 않는다”고 말했다.
타 지역에 비해 부유층이 많고 유흥업소가 집중돼 유혹에 노출되기 쉬운 것도 원인이다. 또다른 경찰관은 “다른 지역이라면 민원인을 만나서 된장찌개 먹을 것을 강남이라면 고급 식당에 가게 되는 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서초서의 한 경찰관도 “다른 지역에 비해 만나는 사람들의 급이 다르다”며 “평범한 자영업자로 알고 식사했는데 나중에 보니 대형 빌딩 임대주여서 놀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경찰 비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찰 기능 강화 등 구조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곽대경 교수는 “내부 감찰을 강화하고 문제 동료의 비위를 적발할 수 있도록 내부 고발자의 신원을 보장하는 등의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