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 중심지 뉴욕과 런던이 저물고, 상하이와 홍콩이 그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 타임스가 11일 보도했다. 나일론(NyLon=NY+London)은 뉴욕과 런던, 상콩(Shangkong=Shanghai+Hongkong)은 상하이와 홍콩의 합성어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 은행가와 정책 입안자들은 뉴욕과 런던 중 어느 곳이 최고 금융 중심지인지를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그러나 금융 위기라는 태풍이 휩쓸고 있는 지금, 이런 논쟁은 고색 창연한 것이 되어 버렸다. 바로 이 두 도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촉발된 금융 위기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예일대 경영대학원의 제프리 가튼 교수는 파이낸셜 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뉴욕과 런던의 경쟁자는 더 이상 상대방이 아니라 홍콩과 상하이로 대표되는 중화권 금융 허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금융 중심지가 동쪽으로 중심 이동을 하는 셈이다.
가튼 교수는 뉴욕과 런던은 앞으로 수년 간 금융 위기의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두 도시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재정적자로 인해 높은 세금을 부과할 수 밖에 없고, 교통 교육 문화 등 인재를 끌어들일 만한 투자는 크게 줄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유인 요인이 많다. 가튼 교수는 “중국은 앞으로 수 십년간 세계 최대 채권국이 될 것”이라며 “중국은 자본 상태가 건전한 세계 최대 은행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홍콩과 상하이 주식시장에 곧 상장될 대기업도 풍부하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영국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이는데 비해 중국은 여전히 6%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지위가 흔들리는 점도 중국의 부상을 돕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중국이 세계 경제에 드라마틱한 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홍콩과 상하이는 식민지 시대부터 전수 받은 금융 노하우를 활용, 각종 조세혜택을 앞세워 적극적인 인재 영입에 나섰다. 가튼 교수는 “영국과 미국이 조세제도나 각종 사회 기반시설, 금융규제 등을 재정립하지 않으면 앞으로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