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수)
공공·다중시설 3분의2, 석면 함유

공공·다중시설 3분의2, 석면 함유

기사승인 2010-04-29 16:03:00
[쿠키 사회] 환경부는 2008∼2009년 전국 시청, 구청,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 6106곳 중 424곳(6.9%)과 지하역사, 대형할인점 등 다중이용시설 8138곳 중 313곳(3.8%)을 조사한 결과 공공건물의 79%와 다중이용시설 49%에서 석면이 검출됐다고 29일 밝혔다. 조사대상 737곳 가운데 66%인 488곳이 석면 함유 자재를 사용한 것이다.

1970년대 지어진 공공건물의 93%, 80~90년대 건물의 89%, 2000년 이후 건물의 46%가 석면을 함유한 자재를 사용했다. 다중이용시설도 80년대 이전 건축물은 74%, 2000년 이후는 28%로 오래된 건물일수록 검출 비율이 높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부터 석면 함유 자재의 생산, 유통,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석면이 검출됐더라도 실내공기질 석면 권고기준(㎤당 0.01개)을 초과하는 건물은 없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당장 석면 가루가 날릴 우려는 없지만 철거·보수 작업을 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
임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낙연의 변심, 결국 후배들도 등 돌렸다…신정현 새미래민주당 탈당

신정현 전 새로운미래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이 ‘새미래민주당’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지난해 12월 “이대로는 희망이 없다”며 ‘새로운미래’ 창당을 주도했던 신 전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당과 결별한 이유는 바로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이었다.신 전 위원장은 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의 새미래민주당은 그날의 창당 정신에서 너무나 멀어졌다”며 “반헌법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