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사망자 76명..추가 생존자 기대 힘들듯

뉴질랜드 사망자 76명..추가 생존자 기대 힘들듯

기사승인 2011-02-24 12:41:00
[쿠키 지구촌] 구조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뉴질랜드에서는 더 이상의 생존자를 기대하기는 사실상 힘들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규모 6.3의 강진으로 사망자가 76명, 실종자 300여명, 부상자 2500여명으로 집계된 가운데 각국에서 모여든 구조대원들이 속속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무너진 건물더미에 깔려 있는 수백명의 생존 신호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구조당국자들의 입에서도 생존자 구출에 최선을 다하고는 있지만 최악의 경우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존 리 뉴질랜드 총리도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희망을 포기해선 안되지만 이제는 기적만이 그들을 구할 수 있다”고 며 “그러나 마지막 순간까지 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생존자 기대 힘들듯 = 구조팀은 이날도 각종 장비를 총동원해 매몰자 수색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지진피해가 잦은 미국과 일본 구조팀은 탐지견과 각종 장비 등을 생존 신호를 감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희망은 점차 절망으로 변하고 있다. 구조팀은 무너진 한 교회 건물 밑에서 15시간 만에 한 여성의 목소리가 들렸다는 소식을 접하고 긴급 출동했으나 정작 현장에 도착해서는 아무런 신호를 접할 수 없었다.

소방당국의 구조담당은 “구조현장 어떤 곳에서도 대화가 되는 매몰자가 전혀 없고 생존 신호 또한 전혀 없다“며 “최선의 경우를 기대하고는 있지만 최악의 상황도 염두에 둬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인 실종자 유모씨 남매(오빠 24세, 여동생 21세)와 일본인 11명을 포함해 최대 120명 정도가 매몰된 것으로 알려진 캔터베리방송국(CTV) 붕괴 현장에서도 이날 구조작업이 다시 시작됐다.

탐지견 3마리와 함께 도착한 30여명의 일본 구조팀도 현장에 곧바로 투입돼 실종자 수색작업에 나섰으나 인근에 있는 26층짜리 그랜드챈슬러 호텔이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지진의 피해가 가장 컸던 사업지구에 구조작업이 집중된 가운데 이 도시에서 가장 높은 그랜드챈슬러 호텔이 붕괴될 경우 도미노 현상을 불러오면서 구조활동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러셀 깁슨 경찰청장은 “추가적인 생존자를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 어제의 감동 재현될까 = 지진 발생 이틀째인 지난 23일 한 여성이 담요에 덮인 채 건물더미에서 빠져나오는 장면에 모든 사람이 감동의 박수를 보냈다.

이 여성은 지진으로 무너진 PGC 빌딩의 잔해 속에 파묻힌지 24시간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다. 진동이 느껴질 당시 책상 아래로 몸을 피한 덕분에 구사일생으로 살아 남았다.

여동생인 샐리 보드킨-앨런은 “마치 기적같다. 매우 견고한 책상이었고 재빨리 그 밑으로 들어간게 틀림없다”며 기뻐했다.

그러나 지진 첫날 30여명이 구조된 것과 달리 이틀째는 생존자 숫자가 손꼽을 만큼 줄었고 대부분의 실종자 가족들에게는 악몽과 같은 시간이 계속됐다.

◇본격화되는 복구작업 = 무너진 건물 60%에 대한 수색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피해 복구작업도 본격화되면서 주민들의 생활도 조금씩 정상을 되찾고 있다.

지진 당일 폐쇄됐던 공항에서는 현재 국내선은 물론 국제선도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에어뉴질랜드는 2500여석의 추가 항공편을 편성해 크라이스트처치로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여행객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

도심은 원활한 구조 작업과 약탈 등의 방지를 위해 여전히 통제된 상태지만, 뉴질랜드당국은 이날 중 도심 거주 주민들에 대한 귀가를 허용, 직접 피해 상황 등을 확인하도록 할 방침이다.

상점과 주유소도 부분적으로 영업을 재개하기 시작했으며, 은행 현금자동인출기(ATM)도 정상 작동되고 있다.

하지만 상수도 가운데 80%는 아직 복구되지 않아 시민들이 제한적인 급수를 받고 있다. 전력망도 40%정도 복구되지 않은 상태이며, 생필품 부족에 대비해 식료품 구입에 제한을 두는 곳도 있다.

그러나 호주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온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나선 만큼 시간이 가면서 상황이 점차 호전될 전망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전재우 기자 jwjeon@kmib.co.kr
전재우 기자
jwjeon@kmib.co.kr
전재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