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사회] 4대강 사업 이후 보(洑) 근처 수생태계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4대강 보의 상·하류 각각 2㎞ 구간의 어류와 주변 식생을 조사해 비교한 결과 고인 물에 주로 살고 오염에 내성이 강한 ‘정수성 어류’가 증가하고 멸종위기종이 본류에서 사라진 것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4대강 보 설치공사로 유속이 느려지고 물그릇이 커지면서 누치, 붕어, 끄리 등 고인 물에 사는 ‘정수성 종’이 주로 발견된 반면 하루살이와 강도래 등 흐르는 물에 주로 서식하는 ‘유수성 종’은 2010년 48종에서 2012년 18종으로 크게 감소했다.
수심이 얕은 여울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 2급 꾸구리와 1급 흰수마자는 보 설치 공사가 진행된 본류 구간에서는 채집되지 않았다. 멸종위기 1급인 귀이빨대칭이는 2011년 낙동강 수계에서 갈수기와 준설 때문에 수위가 하강했을 때 일시적으로 발견됐으나 이후 수위가 상승한 뒤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제방공사와 수변공원 조성 등으로 하천 변의 자생식물이 사라진 곳에는 개망초와 달맞이꽃 등 원래 없던 식물종이 크게 늘어났다. 특히 토착종을 위협하고 급속도로 번식하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퇴치 운동의 대상이 되어 온 생태교란종이 다수 발견됐다. 어류·파충류 중에는 블루길과 배스, 황소개구리 등이 발견됐고 식생으로는 돼지풀과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등 총 9종의 생태계교란종이 출현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3년간의 조사 결과만으로는 보 설치 공사가 수생태계 전반에 끼친 영향을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도 장기적·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생태계 변화를 살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세종=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인기 기사]
▶ 색소폰 불고 곶감 먹고 어린이와 눈인사하고… 노무현 미공개 사진
▶ 박원순 서울시장, 안철수 신당에 왜 발끈했을까
▶ 27개월 ‘지향이’ 의문의 죽음에 분노한 네티즌… 26세 엄마 신상털기
▶ “이래서 라면 상무가…” 포스코 웹툰 구설수
▶ “北 경비원이 잘 갔다오라는 말에 코 끝 시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