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소아 골절 주의

성장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소아 골절 주의

기사승인 2014-04-29 11:59:00
[쿠키 건강] 소아 골절환자가 가장 많은 시기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 이맘때다. 특히 팔꿈치, 손목, 어깨 등 상지부위 골절, 탈구사고율이 높은데 성장판 손상으로 인한 성장장애나 습관성 탈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중요성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소아 골절, 탈구 사고 위험에 대해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박광원 교수의 설명으로 알아보자.

◇성장판 골절로 인한 성장장애 주의

아이들이 주로 다치는 부위인 손목이나 팔꿈치, 발목 뼈의 끝에는 연골조직인 성장판이 있다. 성장판 연골세포가 늘어나고 커진 후 골화과정을 거쳐 뼈로 바뀌면서 아이들 길이성장이 일어나는데, 골절로 성장판이 손상되면 뼈 길이가 짧아지거나 관절이 한쪽으로 휘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성장판골절은 전체 골절사고의 20%로 흔히 발생하며 가벼운 성장판 손상은 석고고정 등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성장판 손상으로 뼈의 변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손상 받은 성장판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다시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판 손상 후유증은 길게는 골절 후 1년 이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거에 골절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아이의 관절 부위가 한쪽으로 휘어지거나,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성장장애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아정형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올바른 탈구치료가 습관성탈구 막아

유년기에는 팔꿈치 관절의 아탈구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갑자기 아이의 팔을 잡아당긴다던지, 양팔을 잡고 위로 들어올리는 등의 행동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어깨 관절의 외상성 탈구는 습관성 탈구로 이어질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탈구가 되면 욱신거리는 통증이 매우 심하고 팔이 움직이지 않아, 아이들이 자꾸 만지려 하는데 잘못하면 주위 근육과 인대가 추가적으로 손상될 수 있으므로 두꺼운 종이나 판자 또는 막대 등을 이용해 고정시킨 후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한다.

치료는 기본적으로 X-ray 검사 후, 전문의에게서 탈구 교정을 받는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정복이 잘 이루어진 경우에는 간단한 석고고정(깁스) 등을 통해서 치료가 가능하나, 광범위한 인대 조직의 손상이 있거나, 주위 근육의 파열이 동반되는 경우 추가적인 정밀 검사 후 수술적 처치를 요할 수도 있다.

어깨 관절의 습관성 탈구의 경우, 어깨 관절 주위의 구조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관절 내시경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아 청소년기 관절의 손상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야외 활동을 하기 전에 아이들의 몸을 유연하게 만드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골절과 탈구 사고 예방하는 것이 좋다.

가급적 인파가 많은 곳이나 구조물이 복잡한 장소에서는 활동을 삼가고, 보호자들은 아이의 활동력조절을 위해 중간 휴식시간을 갖도록 도와 줘야 한다. 또한 자전거, 스케이트 등을 탈 때에는 팔꿈치나 무릎 등에 보호 장비 착용하는 것도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
김단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