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회사원 박진영(35·가명)씨는 사망 시 2억원을 보장하는 정기보험을 온라인으로 가입했다. 기존에 설계사를 통해 가입한 1억4000만원을 보장하는 상품보다 보장금은 크고 보험료는 저렴했기 때문이다.
최근 보험사들이 온라인보험 상품을 앞 다퉈 출시하면서 정보탐색에 익숙한 젊은 층들의 이용률이 늘고 있다. 설계사 없이 소비자가 직접 확인 후 가입까지 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보험 대비 20~30% 가량 저렴하며 보장 내용도 그에 못지않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고 온라인에 익숙한 2040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번져가고 있는 온라인보험이지만, 무턱대고 가입하기보다 자신에게 알맞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하나생명에서 온라인보험 가입 시 고려사항을 한 데 모아 소개했다.
◇가치추구형 소비자들, 온라인보험에 주목= 온라인보험이 주목 받고 있는 비결로는 보험사들의 잇단 온라인 시장진출, 정부차원의 지원, 직접구매(일명 ‘직구’)형 소비 트렌드 등을 꼽을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이용자 증가에 힘입어 보험시장에도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커졌고 보험회사들은 2040세대 타깃층을 선점하는 의미에서 온라인 판매채널을 잇따라 마련, 가입유치를 위한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이런 트렌드에 발맞춰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 정책 종합계획을 통해 2015년에는 ‘온라인 보험슈퍼마켓’을 도입해 소비자가 보험설계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품을 비교 후 가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의 편의성과 시장 투명성 제고를 위해 정부도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소비자 스스로 비교하고 구매하는 이른바 ‘직구형 소비’가 한 때의 유행이 아닌 경기불황 시대에 전략적 소비를 지향하는 현대인들의 전형적인 모습이 된 것도 온라인보험시장 확대에 한 몫을 했다.
그렇다면 최근 보험업계의 핫 아이템인 온라인보험, 어떻게 가입해야 할까?
◇온라인보험, 꼼꼼하고 치밀한 직접설계가 필수적
STEP1. 보험의 필요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것= 과거에는 설계사가 방문하거나 TM을 통하는 수동적인 형태의 보험가입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온라인보험은 가입자 본인 스스로 상품과 가격을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무작정 많은 사람들이 가입을 했다는 소식에 현혹되기 보다는 ‘나는 어떤 보험을 필요로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답, 즉 보험의 필요성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필요하다. 또한 본인의 미래계획과 보험료, 보장내역 등이 부합하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STEP2. ‘모두 보장받을 수 있나?’ 보장내역 꼼꼼히 확인= 처음 온라인보험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싸게 보험에 가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교육받은 설계사가 아닌 소비자의 선택에 맡기되 완전계약을 성사해야 하는 특성상 복잡한 특약이 포함되지 않은 ‘주계약 상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특약 없이 보험에 가입을 해 특정상황에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무리하게 특약을 추가해 보험료가 오를 수 있기에 가입 전 반드시 보장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기록과 가족관계 등 보장여부 확인에 필요한 자료를 입증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STEP3. 정보에 귀 기울이는 것도 도움= 전문설계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보험을 설계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획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015년 하반기에 보험슈퍼마켓이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지만 아직 제도의 정책과 각 주체간의 협업체계 구축이 미흡한 상태다. 따라서 관련 뉴스나 금융위원회 홈페이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동태를 살피는 것이 좋다. 또한 각 보험사에서 블로그,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을 돕는 정보나 후기, 다양한 이벤트 소식을 제공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것들을 활용한다면 보다 현명한 보험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박재인 하나생명 미래사업팀 팀장은 “종신보험, 정기보험, 암보험과 같이 보장금액을 늘릴 필요가 있거나 장기 유지가 중요한 상품의 경우 온라인보험으로 가입하면 유리하다”면서 “저렴한 보험료뿐만 아니라 본인에게 필요한 상품과 보장내역을 꼼꼼히 따져 가입할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