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구현화 기자] KT와 LG유플러스가 손을 잡고 SK텔레콤에 대항해 차세대 사물인터넷 통신망을 내놓았다. SK텔레콤의 로라와 KT-LG가 선택한 NB-IoT는 각자만의 강점이 확실해 차후 사물인터넷 시장이 각축전이 될 전망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3일 광화문 KT사옥에서 간담회를 열고 양사간 적극적인 사업협력을 통해 내년 1분기에 NB-IoT 상용화를 공동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SK텔레콤이 지난해 7월부터 추진한 로라(Lora)망의 대항마다.
NB-IoT와 로라는 저전력 광대역 서비스통신망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최소한의 전력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멀리 보내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전기 가스 수도검침이나 위치 추적용 기기 등 원거리에 있는 사물끼리 소규모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다르다. NB-IoT는 LTE가 기반망이지만 로라는 비면허대역이라는 점이다. 커버리지와 전송 속도도 다르다. NB IoT의 경우 커버리지가 15km, 전송 속도가 수백 kbps로 매우 빠른 편이다. 로라는 커버리지 10km, 속도가 5.4kbps로 느리지만 비용이 NB-IoT에 비해 저렴하다. 이미 SK텔레콤이 지난 7월 상용화한 로라는 월 사용 비용이 350원 수준이다.
주파수는 로라가 5000KHz로 넓고, NB-IoT는 2000Khz로 좁은 편이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은 KT와 LG유플러스가 손잡을 경우 주파수 대역이 달라 맞추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두 망은 상용화의 관건인 비용 측면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로라의 구축비용이 더 들어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조창길 LG유플러스 네트워크 전략담당은 "NB-IoT가 LTE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하는 물론 외곽, 등산로까지 충분히 연결되지만 로라는 별도 중계기나 기지국을 만들어야 해 구축비용이 4배가 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SK는 "이미 지난해부터 700억원을 들여 로라망 확산에 들어가 진행 중이며 구축비용은 기존에 제시한 투자금액으로 커버리지 확대도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NB-IoT의 경우 LTE가 기반망이기 때문에 LTE를 다 깔아야 NB서비스가 가능하고, 기지국을 구축하는 데 비용이 더 많이 든다"고 말했다.
안전성과 속도 차원에서도 갑론을박이다. 안성준 LG유플러스 사업부문장도 "로라는 비면허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출력이 200mW가 한계지만 NB는 30배까지 출력을 높일 수 있고, 속도도 업로드 최대 5배, 다운로드는 11배까지 높다"며 "안전성에서도 로라보다 이중화 돼 있어서 해킹, 오작동에서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다양한 기술과 테스트를 거쳐 로라망의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대응했다.
상용화 면에서는 로라가 이미 앞서 있다. 3GPP에서는 로라를 이미 표준기술로 인정했고, NB의 경우 글로벌 규격화가 6월에야 이뤄지면서 상용화가 늦다. 로라는 비통신업자들도 들어올 수 있어 생태계 확산이 쉽다. NB는 LTE망을 깐 면허업자인 통신사업자만 활용될 수 있어 확산이 좁은 편이다. 로라는 유럽에서 이미 상용되고 있고 중국 등에서는 로라와 NB가 함께 상용되고 있는 편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KT와 LG유플러스의 경우 앞으로 모듈과 칩을 공급할 부품회사와 단말기 제조사 등 협력사의 조기 확보가 과제다. SK텔레콤은 협력사 500곳을 확보했고, KT와 LG유플러스는 생태계 확보에 나서야 할 전망"이라며 "지난 7월부터 로라 기반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오픈했는데 이를 따라오기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ku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