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의학원의 중입자가속기치료센터, ‘총체적 부실’의 산물

원자력의학원의 중입자가속기치료센터, ‘총체적 부실’의 산물

방사선 안전 설계·환자 치료·R&D 능력 전부 낙제점

기사승인 2017-08-17 00:10:00
[쿠키뉴스=김양균 기자]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중입자가속기치료센터의 개발사업 참여병원으로 서울대병원(병원장 서창석)의 낙점이 확실시된다. 쿠키뉴스는 최근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최종 확인했다. 확인 결과 17일 현재 센터는 건물 완공만 되었을 뿐, 그 안은 비어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혈세 낭비 사업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서울대병원이 중입자가속기치료센터를 운영하게 되면 그동안 지연되어왔던 사업은 본 궤도에 오르게 될까? 전문가들은 ‘그렇다’는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센터를 둘러싼 여러 문제의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려는 비단 ‘돈’뿐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꿈의 암 치료기’로 불리는 의료용 중입자가속기치료센터를 바라보는 부산시와 기장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시각은“조속히 사업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복잡한 속내가 관측된다.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의 김쌍우 의원(바른정당)은 이 사업이 지체된 첫째 이유로 과기부의 관리감독 부실을 꼽는다. 김 의원은 “미래부(현 과기부)는 계획을 세울 때 과연 원자력의학원이 75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진정성이 있는지 판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 진행 중간에라도 원자력의학원의 자금조달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함에도 미래부는 전혀 하지 않고, 책임을 원자력의학원에만 돌렸다. 시작부터 검토도 제대로 안되었고, 사업 지체의 원인 분석 및 대책도 강구하지 않았다.” 고 지적했다.

김 의원의 말대로 애초 원자력의학원은 잘못된 선택이었을까?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견해는 좀 다르다. “사업계획에는 원자력발전소가 밀집되어 있는 위험지역 거주 지역민에게 최첨단 의료시설의 혜택을 주자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원자력의학원이 방사선을 이용한 암치료에 전문성이 있었다. 그들(과기부와 원자력의학원)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보유한 터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고무되어 있었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해당 관계자는 “원자력의학원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평가했지만, “중입자가속기 R&D가 포함된 사업 운영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해석했다. 단지 자금 조달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게 아니라, 연구개발과 관련해 현저한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원자력의학원이 이 사업에 참여한 배경으로 두 가지 이유가 거론된다. 미래부 산하 기관으로써 ‘어쩔 수 없는 선택’ 및 ‘과욕’이 그것이다. 쿠키뉴스가 파악한 바로는 후자에 근접해보였다. 다음은 익명을 요구한 내부 관계자의 말이다. “면밀히 검토를 하지 않았다. 대형 국책 사업을 가져오는데 몇 년 동안 공을 들이지만, 이 사업은 기술적인 능력 등의 검토보다 위에서 얘기가 돼서 검토의견이 내려온 식이었다.” 

다분히 주무부처의 ‘강공’ 때문이었다는 뉘앙스다. 이에 대해 과기부는 발끈했다. 과기부 실무자는 “원자력의학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운영 주체가 바뀌자, 흠집 내는 말들이 나돈다. 어디에서 이런 말을 흘리는지 알만하다”고 일축했다. 과기부가 컨트롤타워로서 기능하지 않았다는 의혹과 함께 원자력의학원이 사업 운영 능력이 없음에도 사업에 참여한 이유를 묻는 기자의 물음에 원자력의학원 측은 "확인 후 답변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부산 기장군 중입자가속기 사업은 가속기 연구개발 및 환자치료용 조절 분야로 나뉜다. 가속기 건설이 끝나면 빔을 환자 맞춤형으로 조절하는 치료 단계 개발이 이어지는 순이다. 원자력의학원의 외부 가속기설계 전문가에 대한 운영 및 관리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관리주체였던 원자력의학원의 의사들은 가속기 전문가의 권한을 인정하지 않았을 뿐더러 이들의 제안을 묵살했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환자치료용 단계는 손도 대지 못한 상태에서 건물이 세워졌지만, 이마저도 적잖은 문제를 안고 있다. 해당 관계자는 “방사선 설계 안전이 확보되지 않았다.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가 드나드는 시설임에도 원자력의학원은 가속기 운용 시 발생하는 방사선 안전 심의 결과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대병원이 이 사업을 이어받아도 산재한 문제의 해결이 이뤄지지 않는 한 사업정상화는 요원하다”고 덧붙였다.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