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극복 위한 기초-임상 ‘이어달리기’ 만들 터”

“치매 극복 위한 기초-임상 ‘이어달리기’ 만들 터”

묵인희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 위원장 일문일답

기사승인 2017-09-20 14:55:50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 발족식이 20일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국가 치매 연구개발위원 15명이 참석했다. 박 장관은 위원 위촉장 수여하며 “치매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기념 촬영 이후 박 장관과 위원들과의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위원장으로 임명된 묵인희 서울대의대 생화학교실 교수는 쿠키뉴스에게 “치매 연구를 위한 기초-임상을 잇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다음은 묵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치매와 관련해 중단기·장기적 연구개발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과’를 보여야 한다는 게 연구자들에게 있어 부담이 될 수도 있지 않나.

이미 기존에 많은 치매 기초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이를 어떻게 임상과 연계시켜 실제 환자에게 적용할지에 대한 시스템은 그리 원활하지 않았다. 이번에 연구자와 의사가 함께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으면, 기초 성과들이 시스템을 타고 임상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다. 여기서 다시 기업체와 함께 성과를 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이뤄지면, 이른바 ‘이어달리기’의 개념이 될 수 있다. 

-위원회의 실질적인 역할은 이러한 계획의 전반을 아우르게 되나.

(치매 연구의) 10년 계획을 세울 것이다. 앞서 거론한 것처럼 단기-중단기-중장기의 기간별 포트폴리오를 세워야 한다. 기존의 것들을(치매 기초 연구 결과를) 잘 살려서 빨리 (성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먼저 마련할 것이다. 철저한 (치매 발병의) 원인 규명을 해서, 이에 근거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환자들에게 중요하다. 이러한 과제를 우리가 선점할 수 있는 블루오션을 찾아내는 것도 위원회의 역할이라고 본다. 

-기초연구와 임상간의 긴밀한 연계가 쉽지만은 않다. 어떤 복안이 있는가.

이미 분과위원회 활동을 시작했다. 수차례에 걸쳐 세미나와 심포지엄을 진행면서 서로에게 서로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치매 기초 연구가 굉장히 발달해 있는 상태라 치매 원인 기전과 이를 예방키 위한 기술 등에 임상의들이 큰 감명을 받은 것으로 안다. 기초연구자들도 본인만의 탁월한 연구 성과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임상의로부터 아이디어를 받았다. 분위기가 매우 좋다. 어떤 연구자라도 ‘치매 시스템’을 통하면 임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 

-제약사 등 기업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게 되는가.

산업체의 관점은 기초 연구자들과 많이 다르다. 연구개발을 할 때부터 산업체쪽 인사가 자문위원으로 들어오도록 해서 비율을 다시 가져야 할 것 같다. 

-기초 연구와 기업체의 방향성 조절을 의미하는가.

그렇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