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0명 중 1명은 최근 3년간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건 발생 후에는 그냥 참고 넘어간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전국 226개 시·군·구 공무원 26만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무원 11.1%가 3년간 직접적인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조지자체 공무원 26만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4월11일부터 5월4일까지 실시됐으며, 대상자의 41.3%인 10만8000명이 응답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4월 발표한 공공부문 종사자 온라인 조사 결과(6.8%)에 비해 4.3%p 높은 수치였다.
성희롱·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 2.8%, 여성 18.5%로, 여성의 피해가 높았다.
시·도별로는 ▲서울(12.8%) ▲경기(12.1%) ▲충북(12.1%)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던 제주, 대구, 대전에서도 각각 6.9%, 8.5%, 8.9%의 성범죄가 발생했다.
성희롱·성폭력 사건 발생 후 대처에 대해서는 ‘그냥 참고 넘어갔다’는 답이 7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 내 동료나 선후배에게 의논했다', 직장 내 공식 기구를 통해 신고했다‘ 순으로 많았지만 응답 비율은 각각 19.6%, 3.9%에 불과했다.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로는 ‘분위기를 깨거나 나만 이상한 사람이 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많았다.
게다가 기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조치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장과 고위직의 성희롱·성폭력 예방 노력‘에 대해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41.2%였다. ’고충상담창구 운영‘, ’사건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는 각각 26.7%, 30.9%였다.
이에 여가부는 각 시·군·구에 이번 조사 결과를 통보하고, 성희롱·성폭력 실태 파악과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이숙진 여가부 차관은 “현재 공공부문 및 기초지자체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고려해 개별 기관별 심층점검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여성가족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성희롱·성폭력 실태 파악을 위한 사전온라인 조사‘ 결과에서도 그냥 참고 넘어간 경우가 대부분(67.3%)이었다. 절반가량은 기관 내 고충상담창구 운영 등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했다.
직장상사나 고충상담원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사건처리 결과에 만족하냐는 응답에는 ‘전혀 그렇치 않다(34.9%)’, ‘그렇치 않다(16.5%)’, ‘보통이다(18.2%)로 부정적 응답이 69.6%로 매우 높았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