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불청객인 ‘벌레’, 물렸을 때 방치하면 자칫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산과 들, 바다로 휴가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이 시기는 벌레들의 활동도 왕성해 벌레에 물리거나 침에 쏘이는 등 주의가 요구된다.
모기나 개미에게 물리는 일이 빈번한데, 이 경우 물린 부위가 약간 부어오르면서 가려운 증상이 생긴다. 이 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벌에 쏘이는 경우는 뜻밖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벌은 침을 통해 독액을 우리 체내에 주사한다. 꿀벌은 침을 쏘면 우리 피부에 침과 함께 독액 주머니가 떨어져 나와 붙어 있지만, 땅벌이나 말벌은 침이 떨어져 나오지 않는다. 꿀벌에 쏘였을 때는 피부에 꽂혀 있는 침과 독액 주머니를 제거해야 더 이상의 독액 주입을 막을 수 있다.
이때 독액 주머니를 짜거나 침이 깊이 박히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쏘인 후 피부가 부어오르면서 아프고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종종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환부가 곪거나 조직 괴사까지 진행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꿀벌에게 쏘였을 때는 침을 제거하고 씻은 뒤, 냉찜질이나 소염제 등을 바르거나 복용하면 된다. 더러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이상 징후 발견 즉시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
벌레에 물리거나 쏘인 후 나타나는 과민반응의 증상은 여러 가지다. 전신 피부에 발작 및 피부 발진이 발생하거나 숨이 가빠 오며 호흡이 거칠어지기도 한다. 입술이나 눈꺼풀이 부어오르거나 가슴이 답답해지거나 배가 아프면 과민성 반응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는 “과민성 반응이 시작되면 빠르게 기관지 부종 및 기도수축으로 인해 호흡곤란이 오고 혈압저하가 동반될 수 있다”며 “신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른다. 이 경우 신속하게 병원으로 후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송 교수는 “침이 남아있으면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환자는 혈압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누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호흡곤란을 느낄 경우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권고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