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소가족과 같은 사회구조 변화로 혼밥 문화가 확산되면서 단순한 조리 과정만 거치면 음식이 완성되는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제품의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런 사회 현상에 외식업 브랜드도 가정간편식 사업에 진출하고 있고, 배달, 테이크아웃 등 반(半)외식 문화가 확산되고 있어 간편식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1층 열린소통포럼실에서 ‘HMR, 혼밥 등 식품 트렌드 변화에 따른 안전관리 방안’을 주제로 제6회 식품·의약품 안전 열린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자리에서는 HMR의 영양 불균형 문제와 위생관리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식약처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전체 가구의 9% 정도에서 2016년 27.9%로 크게 늘었다. HMR 시장은 2011년 8000억 규모에서 연평균 14% 성장해 지난해 3조원 규모를 형성했다. HMR은 바로 먹거나 간단히 조리해 섭취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부여한 가정식사 대용식을 뜻한다. 완전조리 식품이나 반조리 식품을 집에서 간단히 데워 먹을 수 있는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레토르트식품 등이 포함된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김태희 경희대 외식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HMR 제품이 다양화되고 고품질화되고 있다. 지역 맛집 유명 음식을 차용하거나 집에서 요리하기 힘든 이색 메뉴, 외식업체나 유명쉐프 메뉴를 간편식으로 제조하고 있다”며 “밀 솔루션(Meal Solutions)의 진화로 업태 경계는 더욱 모호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HMR 시장을 외식업 범주에 포함해야 하는지, HMR 상품의 범위를 냉장, 냉동, 실온 상품 등 어디까지 포함해야 하는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김 교수는 “배달전문음식점의 식품위생안전 관리 문제, 도시락 등 1회용 식품 용기 사용 증가 및 영양 불균형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 뉴푸드(New Food)의 개념 정의 및 새로운 유형의 식품에 맞는 식품안전관리방안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민경 한국소비자연맹 팀장은 “최근 가정간편식 수요가 늘면서 전자레인지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기사를 읽었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는 뜻”이라며 “그런데 HMR 제품 중에는 완제품이 아닌 상태에서 유통되는 ‘밀키트’ 제품들도 있다. 신선도가 떨어진다거나 품질이 안 좋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는데, 유통 중 발생하는 제품 신선도 유지와 관련한 고민도 필요할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샐러드 제품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데, 샐러드의 경우 조리를 하는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 위생적으로 관리하느냐 중요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예전에 비해 영양성분 표시를 보는 소비자들이 늘었다. 그런데 여전히 알레르기에 대한 표시는 미흡한 제품이 많았다”며 “나트륨 문제도 불거지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령의 노인들이 찾는 HMR 관리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성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본부장은 “시니어 가구들의 HMR 소비가 늘고 있다. 일본의 경우 50대 이상에서 가정간편식을 섭취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며 “이에 일본은 저염, 저당 등 HMR 제품을 고령자를 위한 식품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우리도 곧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텐데, 시니어 가정들이 섭취하는 간편식도 살펴봐야 한다. 우리는 65세 이상 노인을 환자로 본다. 같은 음식이라고 소화하는 능력 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며 “고령화 시대에 맞게 고령환자 맞춤 고위험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식약처는 HMR 수요 증가에 대비해 HMR 제품 수거·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편의점 도시락 등 HMR 수거 비율을 확대하고, 조리식품의 식중독균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최순곤 식약처 식품안전관리과장은 “1인 가구 증가로 가정간편식 생산 및 소비량이 늘고 있는 사회적 현상에 맞추어 식품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관련 업종은 관심업종으로 분류해 연 2회 이상 위생점검을 실시하는 등 집중관리하고, 관련 품목은 특별관리대상 목록으로 분류해 수거·검사를 강화할 것이다”라고 약속했다.
그는 “수거 및 검사 건수는 올해 4500건에서 내년 5000건으로 늘리고, 검사항목은 개별 기준과 규격뿐만 아니라 식중독 검사항목까지 적용할 것”이라며 “아울러 가정간편식을 지속 섭취하는 소비자가 영양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