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고민됩니다"

"국립재활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고민됩니다"

인력 및 예산 막혀 전전긍긍

기사승인 2018-09-07 00:25:00

우리나라의 공공병원에 대해 할 말이 많다. 낮은 공공의료 비율이나 공공병원의 부족한 의료 인력 등. 한 나라의 의료를 선도해야 하는 공공병원의 의료 환경이란, 실제론 예산 및 인력의 문제로 되레 열악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가운데 국립재활원(원장 이범석)은 시설과 전문성, 인력 등에 있어 퍽 유의미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시설 현대화는 물론이고 ‘재활’ 분야에 있어 ‘불모지’라 불리는 우리나라에서 국립재활원의 입지는 독보적이다. 최근에는 ‘장애인건강권법’ 시행에 따라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로 지정돼, 장애인 건강과 관련한 각종 제도와 서비스를 도맡고 있기도 하다. 

6일 오후 서울 강북구에 위치한 국립재활원에서 이범석 원장(사진)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 원장은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 지정이 된 후 장애인 건강 관련 교육, 지역 센터와 조율, 장애인 검진 센터 지정. 여성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국제 협력 등을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국립재활원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재활분야 국제협력센터로 지정되기도 했다. 국내에선 처음. 이 원장은 “캄보디아에서 재활인력 교육 워크숍을 진행했고, 내년에는 캄보디아 재활인력을 국립재활원에서 장기 연수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렇듯 재활의학분야에 있어 공공병원이자 전문의료기관으로써 국립재활원의 위상은 높지만, 해결되지 않은 부분도 존재한다. 당장 올해 하반기 시행을 앞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소비자들은 공공병원이라면 모름지기 당연히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해야 한다고 기대한다. 공공병원들도 이런 인식과 기대, 필요성에 공감대를 갖고 있지만, 실제 서비스 시행을 준비하는 실무자들의 속내는 복잡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에 필요한 인력 수급과 배치, 예산 등. 풀어야 할 난관과 숙제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립재활원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날 국립재활원 연구소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추진을 위한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에는 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를 비롯해 서울의료원과 분당러스크재활병원 등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공공 및 민간 의료기관 의료진이 참석해 노하우와 어려움을 공유했다. 

이범석 원장은 “정부에서 장애인 재활을 강조, (국립재활원의) 인력과 예산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해선 별개의 난관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 원장은 “당장 하반기 시행을 해야 하는데 재활지원인력에 대한 인력 및 용역 수급으로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김완호 국립재활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TF 단장은 인력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했다. 요양보호사 등 재활지원인력 수급 방법이 막혀 있다는 것이다. 소속 인력으로의 채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재활지원인력이 공무원 직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 때문이다. 재활에 있어 필수 인력인 요양보호사는 간병인으로서 간호 인력과 함께 환자를 돌봐야 하지만, ‘오직 국립재활원 때문에’ 없던 공무원 직렬을 만들어달란 요구가 쉽지 않다.

때문에 국립재활원은 예산을 받아 상시 근무가 가능한 인력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이 상황을 타개하려고 노력 중이다. 김 단장은 필요 예산으로 45병상 기준 8억여 원을 추계했다. 올해 인력이 이미 충원된 상황에서 국립재활원은 별도의 재활지원인력없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작해야 할 상황에 처해있다.  

이범석 원장은 “재활 분야에 있어 간병인 역할에 대해 이해가 안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며 “내년께는 정리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