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얼마나 행복하십니까…노인, 1인가구, 저소득층 행복지수 매우 낮아

당신은 얼마나 행복하십니까…노인, 1인가구, 저소득층 행복지수 매우 낮아

기사승인 2018-10-17 10:34:53

한국인은 얼마나 행복할까? 한 조사 결과, 행복지수의 평균 점수는 6.329점으로, 주관적 행복도보다 약간 낮고, 삶의 만족도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행복도가 상당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구 규모별로는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행복도 수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연령은 30대였고, 가장 낮은 연령은 60대 이상의 노인이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의 행복도 점수도 평균보다 낮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행복결정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49명의 전문가 조사와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행복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담은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17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대별로는 30대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6.56으로 나타난 반면, 미래 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행복 관련 수치에서 60대 이상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20대는 대체로 30대 다음으로 높은 행복도 점수를 보였으나, 미래 안정성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최근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과 주거 빈곤 등 불안정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가구 규모별로는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행복도 수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자본 혹은 관계적 측면이 행복의 수준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최종 학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행복지수 점수 또한 높았다. 대졸 이상인 사람의 평균 행복지수 점수는 6.57점으로, 중졸 이하의 5.63점에 비해 0.94점 더 높았다.

또한 종교가 있는 사람은 무교인 사람에 비해 행복도가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의 행복도 점수가 평균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특히, 실업자, 월소득 1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자, 스스로를 저소득층이라 평가하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행복지수 점수는 평균에 비해 크게 낮았다. 실업자의 경우, 행복지수 5.39점, 주관적 행복도 5.31점, 삶의 만족도 5.12점, 미래 안정성 4.46점으로 경제활동 인구는 물론이고, 비경제활동인구에 비해서도 행복도 점수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사람은 행복지수 4.98점, 주관적 행복도 5.54점, 삶의 만족도 4.58점, 미래 안정성 4.15점으로 평균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었다.

월소득 구간별로 볼 때, 100만 원 미만과 이상, 100만~199만 원 미만과 이상 간의 점수 편차가 이 구간 이상 소득 간 격차보다 더 컸다.

연구진은 “특히 절대적 결핍과 박탈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의 행복도와 삶의 만족도, 미래 안정성이 중산층 이상인 사람들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저소득층은 주관적 행복도보다 삶의 만족도가 두드러지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요소의 복합체로서 ‘주관적 행복도’보다 삶의 만족도가 생활상의 결핍과 좀 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덧붙였다.
스스로를 저소득층이라 평가하는 사람들의 평균 행복도 점수는 모두 4점대를 기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행복빈곤’ 개념을 시험적으로 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행복빈곤의 조작적 정의는 소득에서 주로 활용되는 상대적 빈곤개념과 유사하다. 즉, 중위 행복도(6.46점)의 50%, 60%, 75% 미만인 행복도를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전체 인구 중 이러한 인구의 비율을 행복빈곤율이라 칭했다.

그 결과 전체 인구 중 14.6%를 차지하는 저소득층이, 행복빈곤인구의 42.4~6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위 행복도의 50% 미만의 행복도를 가진 인구 중 67.6%는 저소득층이었으며, 중위 행복도 60% 미만의 행복도를 가진 인구 중 65.3%가 저소득층이었다.

연구진은 “경제적 빈곤이 행복의 빈곤과 직결된다고 볼 수는 없지만, 행복빈곤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험인자라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