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한화 대전공장에서 또 다시 폭발에 의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5월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 5월 폭발사고로 5명이 숨지고, 4명이 중상을 입었다.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지난 14일 3명이 숨을 거두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중 한 명은 수습사원으로 20대의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한 사업장에서만 두 차례 인재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사고 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강조한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그룹의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최선을 다하라”는 말이 무색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화그룹 사업장의 사망사고와 안전사고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2015년에는 한화케미칼 울산공장 안 폐수처리 저장조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협력업체 근로자 6명이 숨지고 경비원 1명이 다쳤다. 같은 해에는 서산 한화토탈 공장 증축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10m 높이의 작업대에서 추락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이밖에도 2017년에는 5월에 2건, 이어 10월에도 1건의 안전사고가 터졌다. 또 2017년 11월에는 전남 여수시 신월동에 있는 ㈜한화 여수사업장 화공품 시험장에서 소형 폭발물이 터졌다. 당시 현장에 있던 직원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개방성 골절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사건 사고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2017년에는 한화케미칼 울산 공장에서는 협력업체 근로자 1명이 사망했다. 당시 울산시 남구 용연동 한화케미칼 3공장에서 석유화학제품 저장 탱크를 청소하던 협력업체 근로자 강모씨가 탱크 상부에서 떨어진 슬러지 더미에 매몰돼 숨을 거뒀다.
같은 해 5월 유독물질인 자일렌(크실렌)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10여명이 가스에 노출됐으며, 불과 일주일 만인 30일에는 여수 1공장 폴리에틸렌 생산 공정에서 고압분리기의 압력이 상승해 폭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수년간 발생한 한화그룹 사업장 사고는 하루아침에 갑자기 벌어진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판이 이어진다. 사고 이유가 안전불감증이 됐건, 위험물질을 다루는 업종의 특수성이건 번번히 사고가 터졌고 이후 한화그룹의 ‘재발방지’ 약속은 매번 이어졌다.
이번 사고와 관련 한화그룹은 즉각 현장 대응팀을 구성하고 사고 수습 및 원인 파악에 나섰다. 실제 옥경석 한화 화약방산부문 대표는 14일 사고가 발생한 공장앞에서 "오늘 아침 일어난 안전사고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 유명을 달리하신 직원들과 유가족에게 진심으로 애도를 표한다"면서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동계는 한화그룹이 매번 사과만 되풀이하고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며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사고 대처와 관련 한화그룹은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유족에 대한 보상에 그칠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이번 폭발사고가 발생한 공장의 경우 로켓 등 방위산업 제품을 생산하는 국가보안시설로 회사를 직접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방위산업 업계는 "실제 처벌을 받더라도 벌금에 그친다"고 입을 모은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대전지방노동청에 의해 전면 작업중단 조치가 내려진 한화 대전공장의 경우 납기 내에 관련 제품을 납품하지 못할 경우 국가로부터 벌금을 부과받는 처벌만 받게 된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사망사고 자체로 업체가 받는 피해가 없다. 다만 납기가 지연될 경우 벌금을 부과받을 수는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방위산업 관련 생산시설이라는 이유로 납품 지연에 따른 벌금 부과외에 안전사고 관련 규정을 꼼꼼히 만들지 못한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사고의 책임을 지고 있는 한화그룹 측은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사항으로 고려해 다시는 이와 같은 불행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다만 작업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원격작업 공정 개선 작업을 진행했으며, 방염복 등의 안전장비도 계속 강화했다. 안전개선 투자계획을 추가 수립해 공정 개선조치를 지속적으로 해나가고 있으며 전체 임직원 대상 사내·사외 안전교육을 강화해 나갔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럼에도 계속되는 한화그룹의 사고에 대해 그룹 오너인 김승연 회장이 직접 재발 방지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연이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한화 사업장 문제를 김 회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오는 18일 김승연 회장은 과거 배임 혐의 등으로 선고받은 집행유예가 만료되는 만큼 김 회장이 경영 복귀를 공식화할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물론 공식적인 그룹 경영 복귀 여부와 무관하게 그동안 대주주와 총수로 실질적으로 경영활동에 관여해 온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특히 한화그룹의 방산과 화학부분은 그룹의 주력 사업 중 하나라는 점에서 그룹 오너로서 김 회장의 책임이 무거울 수 밖에 없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2016년 김 회장은 신년사에서 "작은 구멍 하나에 거대한 배도 침몰할 수 있다"고 연급했다. 따라서 김 회장이 그룹 경영 복귀를 공식화하는 경우 어떠한 형태로든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이고, 한화 사업장 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제시하는 등 현안을 직접 챙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