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폭의 그림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다. 제목은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던 마리안느(노에미 멜랑)은 우연히 발견한 그 그림을 보고 원치 않는 결혼을 앞둔 귀족 아가씨 엘로이즈(아델 에넬)와의 옛 추억에 젖어든다. 과거 엘로이즈의 초상화를 그려달라는 의뢰를 받은 마리안느는 모델을 서지 않는 그녀를 옆에서 관찰하며 몰래 그림을 그렸다. 함께 산책을 하며 조금씩 가까워지던 중 엘로이즈는 마리안느가 초상화를 그리기 위해 자신에게 접근했다는 걸 알게 되며 화를 내고 두 사람의 관계가 바뀌기 시작한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감독 셀린 시아마)은 신분과 계급, 관습과 성별 등을 모두 덜어냈다. 분명 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영화지만, 현대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이유다. 영화는 관계보다 인물 그 자체에 카메라를 가져다 댄다. 초반부터 마리안느가 처한 현실과 배경, 직업 등의 외적인 요소를 설명하지 않고 그가 보고 듣고 느끼는 것에 집중한다. 마치 그것이 마리안느에겐 부차적인 것들이라는 듯이. 하지만 뒤늦게 등장하는 엘로이즈 역시 같은 방식으로 그리면서 마리안느의 주변을 촘촘하게 그리던 세계는 조금 확장된다. 두 사람이 며칠간 겪는 일들과 감정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연출 방식이다.
영화가 덜어내는 건 이뿐이 아니다. 마리안느와 엘로이즈가 만나는 순간까지의 과정을 최소한으로 압축한다. 초반부 초상화 의뢰를 받은 마리안느에겐 몇 가지의 제한된 조건이 제시된다. 결혼을 거부하는 엘로이즈와 그 이유, 그러기 위해 몇 년간 외출하지 못한 상황, 이전에 고용된 화가가 초상화를 완성하지 못한 것, 포즈를 취하는 모델 없이 기억만으로 초상화를 그려야 하는 것 등이다. 관객들은 직업적인 이유로 낯선 섬에 도착한 마리안느의 입장에서 영화의 세계관을 빠르게 이해하고 배워나간다. 사건도 없고 행동도 대사도 없이 곧바로 영화가 준비한 이야기로 발을 들이는 것이다.
덜어낸 것들 대신 채우는 건 로맨스 서사와 미쟝센이다. 이 인물들의 사랑에 대단한 의미부여는 없다. 자연스럽고 친절한 안내 덕분에 두 사람의 사랑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그들이 겪는 일들과 느끼는 것들은 영상미로 표현된다. 마치 미술관을 걸으며 그림을 감상하는 것처럼 영화 속 대부분의 장면들은 아름다움을 뽐낸다. 시대극의 느낌을 영상으로 재현하는 것을 넘어 계획된 구도와 색감, 조명 등으로 구성된 미쟝센이 영화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내용에 공감하지 못하는 관객도 감독이 그려낸 그림 같은 그림들엔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까.
극 중 마리안느가 집중해서 초상화를 그리듯이, 영화 밖에선 감독이 배우들의 초상을 필름에 담았다. 배우 아델 에넬의 풍부한 연기도 눈에 띄지만, 노에미 멜랑의 존재감은 영화의 인상을 바꿀 정도로 강한 존재감을 뽐낸다. 셀린 시아마 감독은 자신의 시선으로 살아 숨 쉬는 그 순간의 노에미 멜랑을 영화 속에 새겼다. 누군가에겐 노에미 멜랑을 그린 초상으로 기억되어도 이상할 것이 없는 영화다.
이준범 기자 bluebell@kukinews.com / 사진=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포스터, 스틸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