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쿠키뉴스] 노재현 기자 =경북 대다수의 시군이 사망자수가 출생자수보다 많은 ‘데드크로스’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9일 영상회의실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23개 시군의 인구변화와 실태분석을 토대로 정책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용역은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지방소멸 관련 인구변화, 지역실태 및 여건 분석 ▲지방소멸대응 중장기 비전·전략 및 정책방향 ▲지방소멸대응 추진전략별 중점시책(과제) 발굴 ▲정책과 연계한 정책발굴 및 지원제도 마련 등으로 이뤄졌다.
용역 결과 경북지역 인구구조 변화는 ▲구미와 경산을 제외한 21개 시군이 데드크로스(사망자수>출생자수) 진입 ▲자연·사회적 인구감소 요인에 따른 생산 가능인구 급감과 고령화 가속화 ▲인구규모가 작은 시군의 인구감소 고착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좋은 일자리 부족 및 우수 인력유출, 의료·문화·복지·교통 등 생활편의서비스 수준 저하, 빈집·폐교·폐점포 확대로 마을 공동화 등의 악순환이 거듭되면서 지방소멸이 가속화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자문위원들은 지역소멸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앙-지방 공동대응 전략 ▲지자체간 상생협력 사업 ▲지역주도 정책과제 발굴 ▲지역 주도 지방소멸 대응 종합대책 수립 등을 제안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멸위험지역의 돌봄-복지 서비스 수요를 인근 시군이 협력해 종사자를 발굴하고 양성한다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승규 박사는 “지자체 간 경계를 넘어 복지・문화・안전・환경・교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협력해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미홍 토지주택연구원 박사는 “지자체 상황에 적합한 두 지역 살기 모델개발과 다양한 도농교류 정책 등을 통해 생활(관계)인구를 증가시켜 지역에 활력을 불러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경북도는 자문위원들이 제시한 의견과 중간보고 연구의 미비점 등을 보완해 오는 11월까지 ‘경상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강성조 행정부지사는 “고령화와 청년층 수도권 유출 등에 따른 지역의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다”면서 “이번 종합계획수립을 통해 소멸위기와 변화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모델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njh2000v@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