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온라인 건강정보 43.2%… 과학적 근거 부족

온라인 건강정보 43.2%… 과학적 근거 부족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정보 시정권고 위원회’ 구성… 부적절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착수

기사승인 2021-09-01 10:22:50
사진=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제공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온라인에 노출된 건강 관련 광고와 건강정보 게시물의 43.2%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작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의학, 커뮤니케이션, 법학 등 다분야 전문가와 시민 단체, 1인 크리에이터 등으로 구성된 건강정보 시정권고 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지난 31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위원회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정보 시정권고 위원회는 지난 6월 출범하였으며 온라인상의 잘못된 건강정보를 바로 잡는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의 자문과 잘못된 정보의 정정 및 시정권고를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통계팀은 온라인 건강정보의 시범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 근거가 빈약한 건강정보의 선별 기준과 정정에 대한 절차를 논의했다.

시범 모니터링은 총 3613개의 비만, 다이어트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비만 관련 게시물의 경우, △일상 관련 50.7%, △건강 관련 광고 38.3%, △건강정보 9.0%, △기타 광고 1.1%, △기타 게시물 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건강 관련 광고와 건강정보 게시물을 대상으로 잘못된 정보를 선별한 결과 게시물의 43.2%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작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었다. 다이어트 관련 게시물의 경우, 32.7%였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작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건강정보를 선별·정정해 대국민 홍보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일부 검증되지 않은 건강정보에 대해서는 시정권고를 하는 방향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정보 시정권고 위원회의 유현재 위원장(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은 “건강에 관련된 가짜정보를 생산하여 무분별하게 유포하는 경우 국민 불안감이 가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한다. 적극적으로 건강에 관련된 정보들을 모니터링하고 바로잡음으로써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 전했다. 

조현장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원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처럼 국민 건강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잘못된 건강정보가 확산되는 인포데믹(infodemic)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건강정보들을 모니터링 하고 올바른 건강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위원회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잘못된 건강정보들을 시정해 국민이 올바른 건강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여 건강증진과 건강수명 연장이라는 우리기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룰러’ 박재혁의 웃음 “쵸비 펜타킬? 다음엔 안 줘”

‘룰러’ 박재혁이 ‘쵸비’ 정지훈에게 펜타킬을 주지 않겠다고 웃으며 말했다.젠지는 21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한화생명e스포츠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15연승을 질주한 젠지는 2위 한화생명과 격차를 3경기 차로 벌리며 선두 자리를 굳건하게 지켰다. 또 21세트 연속 승리로, LCK 세트 최다 연승 신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24년 젠지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