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대전열병합발전 현대화사업, 온실가스-대기오염 감축 효과 30~40% P↑

대전열병합발전 현대화사업, 온실가스-대기오염 감축 효과 30~40% P↑

- 숙명여대 산학협력단 연구분석 결과... 친환경설비 가능, 국가정책에도 부합
- 주민들 “무작정 반대 이해 안돼 ...적극적인 설득 필요”

기사승인 2021-11-04 20:02:58 업데이트 2021-11-05 01:23:36
숙명여대 산학협력단 유승직 교수(기후환경융합학과)가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에 따른 집단에너지 시설의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상욱 기자.
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대전열병합발전(주)의 현대화사업은 온실가스 감축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현재보다 30~40%포인트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심한 갈등 양상을 빚고 있는 이 사업에 대한 이같은 결과가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숙명여대 산학협력단 유승직 교수(기후환경융합학과)는 3일 오후 대전열병합발전 강당에서 열린 ‘대덕구 주민상생협의체 2차 회의’에서 발표한 이 사업의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영향 분석 결과,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에 따른 집단에너지 시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대체 설비에 따라 44.3%포인트 ~ 46.2%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에 따른 집단에너지 시설의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는 대체 설비에 따라 33.9%포인트 ~ 37.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유 교수는 “이 같은 결과 등을 분석해 볼 때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은 기존 설비 대비 친환경설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유 교수는 “대전시의 대기오염 배출 대부분이 수송-건물과 같은 소비 위주의 화석연료 소비에 기인하는 점, 대전시의 전력자립도가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낮은 수준 등임을 고려할 때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은 기후위기 대응 국가정책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 참석한 대덕구 목상동, 관평동, 신탄진, 석봉동 등의 주민자치회, 번영회, 주민연합회 등 소속 주민들은 “이 사업에 반대하는 분들은 대부분 이전의 지역 환경문제에는 무관심했다”면서 “이 사업의 환경영향분석 결과 등을 제대로 살펴보지도 않고 무작정 반대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또 “대전열병합발전 측에서 아무리 긍정적인 얘기를 해도 반대하는 분들은 믿지 않는 실정”이라며 “좀 더 설득력 있는 홍보방법을 찾고, 이런 설명회 자리를 자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목욕하실 시간입니다”…광화문 세종대왕·이순신 장군 동상 세척

서울 광화문광장의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이 봄을 맞아 목욕을 한다.서울시는 오는 15일 오전 9시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 광화문광장의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 세척 작업을 한다고 밝혔다.시는 광화문광장 내 동상의 보존·관리를 위해 매년 전문 인력을 동원해 세척 작업을 하고 있다. 세척은 물청소와 이물질 제거 작업 등 4단계로 이뤄진다.우선 시는 저압세척기와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 동상 표면의 먼지와 이물질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