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나홀로 상승 강원, 규제완화에 휘청

지난해 나홀로 상승 강원, 규제완화에 휘청

기사승인 2023-01-31 13:00:02
강원도 춘천시내 부동산공인중개 업소가 모인 상가를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조유정기자.

지난해 전국적인 부동산 침체기에도 상승기를 이어가던 강원도 주택시장이 규제 완화에 흔들리고 있다. 강원도 부동산 시장의 주 거래자였던 외지인들의 거래가 줄었기 때문이다.

31일 KB부동산 월간주택가격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은 4.87%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집값 상승기 소외됐던 지역으로 하락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하락기 집값 하락 방어는 성공했으나 매매거래량 감소와 미분양 급증 등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강원도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718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43.6% (1만3321) 감소한 수치다. 부동산 침체로 인해 외지인 거래가 급감하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강원도 부동산 시장은 외지인에 따라 움직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동산 과열로 규제가 많은 시절 강원도의 경우 비규제지역으로 1억 미만의 아파트가 많아 외지인 갭 투자자들이 몰렸다. 실제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외지인 매매 증가 지역 중 3위가 강원도 원주시 1943건으로 조사됐다. 원주는 전체 거래(5561건) 중 34.9%가 외지인 거래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고금리 등의 부담으로 강원도 내 외지인 투자자가 급감했다. 지난해 강원도 내 아파트 매매 거래자 중 서울 거주자는 1643건, 기타 지역은 3859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그 직전 해인 2021년 서울 거주자 3701건, 기타 8411건 대비 각각 55.6%, 54.1%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원주 ‘미분양 악몽’ 재현 위기

특히 원주에서는 2021년 5,141명이던 외지인이 1766건 전년대비 65% 급감했다. 특히 2020년(1057건), 20201년(1388건) 이던 서울 투자자들이 지난해 460건으로 급감하며 주택 시장이 정체됐다.

거래 절벽에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며 적신호가 켜졌다. 원주는 지난 2017년 1월 미분양 물량이 1000세대가 넘어가며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후 같은 해 8월 해제됐으나 다음 해인 2018년 4월 미분양이 1800세대에 달하며 재지정 됐다. 2019년 5월에는 포스코 더샵 센트럴 파크 분양 부진으로 미분양 물량이 3390세대로 치솟았다.

여러 차례 위기를 겪은 원주는 지난 2021년부터 미분양 제로(0)를 유지했으나 지난해 10월 신규 아파트 물량이 쏟아지며 미분양이 급증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은 1255세대다. 여기에 올 1분기 원주에는 10대 브랜드 건설 아파트 1798가구가 분양을 앞둬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분양 관리지역은 주택 수가 500세대 이상인 시·군·구 중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 등 4개 요건 중 1개 이상을 충족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원주 외에도 춘천 1039가구, 속초 925가구가 공급되며 강원도 주택시장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경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원주시지회장은 “2020년과 2021년은 외지인 투자자들로 인해 거래가 활발했는데 지난해 중반부터 외지인 투자자들이 다 빠졌다”며 “규제지역이 완화의 영향과 지난해 분양 아파트가 증가하며 미분양 물량이 급격히 쌓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며 건설사에서도 분양을 미루는 곳들도 많다”며 “e편한세상원주프리모원는 지난해 분양 예정이었지만 올해로 밀렸고 동문더이스트도 올해 분양 예정이지만 아직까지 큰 움직임은 없다”고 밝혔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강원도의 경우 비규제지역으로 수혜를 받은 지역이나 정부가 연초부터 서울을 포함한 서울 일대를 비규제지역으로 해제하며 지방에 수요가 붙기 어려운 구도가 된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은 주택이 부족한 지역은 아니다”며 “가수요가 들어와서 시장 내에 있는 분양 물량을 흡수해야 하는데 규제지역이 완화되며 가수요가 붙어도 서울과 수도권 광역시와 동일선상에서 경쟁하며 밀리고 있는 것이다”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강원 시장이 살아나려면 서울‧수도권이 먼저 살아나야 한다”며 “서울‧수도권의 주택 가격 부담이 커지면 광역시, 지방 순으로 수요가 퍼지는 순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수도권도 올해 안에 완전히 살아나기는 힘들 것으로 보여 강원 주택 시장도 상당 기간 한파가 계속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