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되는 마트 평일 의무휴업 논란…“노사 분쟁 번질 수도”

확대되는 마트 평일 의무휴업 논란…“노사 분쟁 번질 수도”

기사승인 2023-02-16 06:00:01
백화점·면세점 판매 서비스노동조합 대표들이 30일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열린 '백화점·면세점 원청교섭 요구' 기자회견에서 관련 주장이 담긴 피켓을 들고 있다.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

대형마트에서 시작된 의무 휴업 논란이 백화점·면세점 업계로 번지고 있다. 백화점·면세점 노동자들도 마트처럼 정기 의무휴업 제도를 도입해 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노동계 갈등도 확대되는 양상이다.

특히 대구시를 기점으로 평일 의무휴업일의 안착 여부에 관심이 쏠리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성원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 사무처장은 15일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제 대형마트 일요일 휴점은 정착됐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유통 재벌들이 계속 욕심만 부리는 것이 아닌가 싶다. 실제 전통시장을 비롯해 주변 상권까지 합쳐서 보면 15~20% 매출 상승 효과도 있다. 인원 고용 창출 측면에서도 의무휴업 변경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사무처장은 또 “일부 백화점 등 판매서비스노동자들은 주말 연장 근무는 물론 주 52시간제도 제대로 못 지키는 게 다반사”라며 “이들에게도 의무휴업일이 절실하다. 정기적인 휴일 보장을 통해 노동권과 휴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화점·면세점노조는 주 1회 의무휴업 제도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행 유통산업발전법은 대형마트 월 2회 의무휴업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개정해 의무휴업 적용 대상 범위를 넓히고 의무휴업일 수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유통산업발전법상 월 2회 의무휴업 규제 대상에는 일부 대형마트만 포함돼 있으며, 백화점·면세점 등은 미포함돼 법을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트노조도 백화점·면세점노조와 연대하며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마트 노동자들은 대구에서 시작된 의무 휴업일 변경이 서울까지 확대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진희자 이마트 여의도지회 지회장은 “대구가 이번주부터 행정명령에 따라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했다. 우리의 어떠한 의견도 반영하지 않은 채 급하게 바로 시행이 됐다”며 “서울시도 다르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어 다들 불안해하는 게 사실이다. 주말은 사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진 지회장은 마트 노동자들의 경우 대부분 평일에 돌아가면서 쉬고 있어 평일 의무 휴업일 전환이 큰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마트 전체가 쉬는 날인 의무휴업일이 그나마 온전한 휴일이라는 것이다. 

진 지회장은 “사실상 주말에 쉬려면 일이 바쁘기 때문에 근무자가 많아야 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요일에 쉴 수가 없다. 만약 쉬게 되더라도 윗선의 눈치를 봐야 한다”며 “그나마 한달에 두 번 쉬어서 지인들과 약속을 잡거나 결혼식 등 가족 행사가 있어도 마음 편하게 갈 수 있었는데 이를 단숨에 빼앗는다고 하니 어떻게 해야할 지 낙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노조 측은 의무휴업일 변경이 입점업체 매출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반면 대형마트들은 특별시·광역시 의무휴업일 변경이 서울까지 번지면 매출 성장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는 마트 의무 휴업 제도가 또다른 노사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대형 유통업체들 입장에선 근로자보다 소비자 수익 논리에 따라 (의무휴업 제도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는 건강 등 과로 문제로 직결되기 때문에 근로자들과 충분히 이야기를 통해 풀어가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트 주말 근무를 순환 체재로 조절하거나 인력을 확보하는 방법도 있다”며 “그런 것 없이 노동 강도만 늘어나게 될 경우 또다른 노사 분쟁이나 과도한 노동으로 개개인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소비자 편의에 맞춰 근로자 편익도 고려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또 의무휴업제 확대 가능성에 대해 “수도권이나 서울 지역으로 (마트 의무휴업)이 확대가 되면 노동계 반발도 거세질 텐데 이는 지역 상권 문제와도 연결될 것으로 본다”면서 “지역 노동자와 상생할 수 있는 해법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한나서명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