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9일 (금)
교사 10명 중 9명, 교권 침해 ‘학생부 기재’ 찬성

교사 10명 중 9명, 교권 침해 ‘학생부 기재’ 찬성

기사승인 2023-07-27 16:40:40
한국교총 2030 청년위원회를 비롯한 교사들이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교권보호 대책 마련 촉구 및 교권침해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이예솔 기자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교원 10명 중 9명이 교권 침해 사안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해야 한다고 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25∼26일 전국 유·초·중·고 교원 3만2951명을 대상으로 ‘교권 침해 인식 및 대책 마련 교원 긴급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유·초·중·고 교사를 포함해 교장, 교감 등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89.1%가 교권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사항을 학생부에 기재하는 것에 찬성했다.

정당한 교육활동을 아동학대로 보지 않도록 법을 개정하는 것에는 대다수의 교원인 99.8%가 동의했다. 또, 교육부가 마련 중인 생활지도 관련 고시에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도 93.4%가 찬성했다. 교원 93.3%는 아동학대 신고만으로 교사를 분리 조치, 직위해제 처분하는 절차가 개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가 이어지고 있어 무고죄 신고 등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교원 99.8%는 허위·반복 민원이나 신고에 대해 교육청이 무고죄나 업무방해죄 등으로 고발하는 등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답했다. 97.1%는 형사처벌 규정에 해당하는 교권 침해에 대해 교육청이 수사기관에 고발하도록 한 교원지위법 조항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교권 추락에 학생인권조례가 영향을 미쳤다고 교원들은 진단했다. 교원 83.1%는 학생인권조례가 교권 추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이 중 ‘매우 동의’하는 비율은 55.9%로 절반을 넘었다.

교원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주 대상은 학부모로 66.1%로 조사됐다. 이어 학생(25.3%), 교장·교감(2.9%) 등 순이었다.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은 생활지도(46.5%)가 가장 컸고, 민원(32.3%), 아동학대 신고 두려움(14.6%)이 뒤를 이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9일 별세…향년 81세

‘뽀빠이 아저씨’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방송인 이상용이 9일 오후 2시30분께 별세했다. 향년 81세. 소속사 이메이드 관계자에 따르면 이상용은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 인근 병원에 다녀오던 중에 쓰러졌다. 이후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관계자는 “전날에 같이 행사를 다녀왔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날 줄은 몰랐다”고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