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2일 (목)
셀트리온, 송도 3공장 밸리데이션 돌입…“12월 생산 가동”

셀트리온, 송도 3공장 밸리데이션 돌입…“12월 생산 가동”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 본격 구축
1·2공장 포함 25만ℓ 생산력 확보

기사승인 2024-07-23 11:30:49
셀트리온.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인천 송도에 위치한 셀트리온의 제3공장이 상업 생산 가동 전 최종 밸리데이션(Validation)에 돌입했다.

23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제3공장에 대한 설치·운전 적격성 평가(IOQ) 등을 거쳐 주요 장비 생산 공정의 완전성을 검증하는 마지막 밸리데이션 단계인 성능 적격성 평가(PQ)를 진행하고 있다.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상업 생산 이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계로, 의약품 제조공정 개발부터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제품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검증해 문서화하는 작업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1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27개월간 약 27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자해 연면적 약 2만2300㎡(약 6760평), 지상 5층 규모의 제3공장을 신규 준공했다. 성능 적격성 평가까지 완료되면 오는 12월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연간 생산 능력 6만ℓ(리터) 규모의 3공장이 가동되면 셀트리온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10만ℓ 규모의 1공장과 9만ℓ 규모의 2공장까지 합쳐 총 25만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신규 3공장은 다품종 소량생산에 특화된 시설로, 7500ℓ 배양기 총 8개를 배치했다. 이미 상업화한 제품의 생산은 물론 후속 파이프라인의 수요를 반영해 다양한 품목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현재 총 9개의 바이오의약품 허가를 획득했고 2025년까지 11개, 2030년까지 총 22개의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신규 3공장 확보에 있어 세포 증식 단계를 단축시킬 수 있는 신규 배양 공정 설비를 도입하고, 정제 공정에도 자동화 기술을 확대 적용하는 등 최신 기술을 집약시켜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했다. 

아울러 2026년 초 완공을 목표로 송도 캠퍼스에 지어지고 있는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의 건설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DP 공장은 완공되는 대로 밸리데이션 완료 후 2027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 체계에 돌입할 예정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의 수요가 매년 증대되는 만큼 전략적 성장 계획과 선제적 시장 대응을 통해 성장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전사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서울 사람한테만 빌려줬다” 저축은행 여신 집중 ‘심각’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서울에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과 전문가들은 지역금융 공급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위해 규제 완화와 인수합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40조4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동월 대비 약 2조원 증가했다. 서울에서만 2조50억원 늘었다. 다음으로 대출이 많이 증가한 부산(2521억원), 충북(2107억원)은 증가 폭이 서울의 1/10 수준에 그쳤다. 경기(-280억원)와 인천(-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