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일본 환적화물·중국 해상특송 수요 잡아 신 성장동력 발굴 필요

부산항, 일본 환적화물·중국 해상특송 수요 잡아 신 성장동력 발굴 필요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부산항의 생존 전략

기사승인 2025-01-02 18:20:03

부산신항 전경. 부산항만공사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 둔화 속에서 부산항이 성장 정체에 따른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발표한 '부산항 물동량 유치 방안 연구'에서 일본 환적화물 유치 확대, 터미널 통합 운영, 한중 전자상거래 해상특송 수요 확보 등이 새로운 성장 방안으로 제시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지난달 31일 발간한 ‘부산항 물동량 유치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항의 물동량 증가율은 2004~2013년 연평균 4.9%에서 2014~2023년 2.4%로 절반 넘게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출입 화물 증가율도 11.2%에서 1.5%로 급감했다. 현재 부산항은 세계 7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세계 2위 환적항만으로, 전체 물동량의 94.4%가 컨테이너 화물이며 이 중 53.6%가 환적화물이다.

부산항의 성장 둔화 원인으로는 대내외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KMI는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성장세 둔화, 컨테이너선 대형화와 글로벌 얼라이언스(선사 동맹) 재편, GTO(글로벌 터미널 운영사)의 성장 등 대외적인 항만업계 구조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싱가포르항과 중국 주요 항만의 확장, 동남아시아 항만의 부상으로 아시아 역내 경쟁이 심화된 점도 함께 지적됐다.

동시에 부산항의 구조적인 문제도 성장 발목을 잡았다. 현재 부산항은 북항과 신항의 이원화된 운영으로 인해 연간 약 2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분량) 규모의 환적화물이 이동하며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다. 신항은 7개 터미널이 분산 운영되고 있어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북항은 하역 능력(465만TEU)보다 높은 670만TEU를 처리하고 있어 포화 상태다.

이에 KMI는 일본 환적화물 유치 확대와 중국 전자상거래 해상특송 수요 유치를 부산항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제안했다. 
규슈와 츄코쿠 같은 일본 서안 지역의 신선 화물과 긴급 화물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고부가가치 물동량을 유치하고 일본 동부지역인 훗카이도와 도후쿠는 우선 지원대상으로 선정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을 분석해 부산항 발전에 적극 활용하자는 전략도 제시됐다. 
닝보가 있는 저장성은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항저우, 세계 최대 소상품 시장인 이우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클러스터다.
 닝보와 가까운 부산의 지리적 이점을 살려 전자상거래 물류망을 연계한다, 부산항이 이들의 해상특송 수요를 유치할 가능성이 있다. 카페리를 이용한 차량과 화물의 동시 운송은 소량 다품종 전자상거래 처리에도 효율적이다.

아울러 7개 터미널 운영사로 분산된 부산신항을 물리적 연계성이 높은 터미널 중심으로 통합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도 언급됐다.

부산항만공사(BPA)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수출입 증가를 기회로 삼아 물동량을 늘릴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며 "일본과 중국 시장 공략, 터미널 통합, 그리고 해상특송 기반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부산항은 이러한 전략적 대응을 통해 올해 목표인 2500만 TEU 달성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사단법인 포트아카데미 연구원 조양일 원장은 “일본의 경우에는 자국의 내륙운송 비용과 필수수요에 대해 부산항이 경쟁우위를 가질수 있다면 매력도가 높아져 환적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국의 경우, 트럼프 2기정부의 기조를 예의주시하면서 중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서영인 기자
igor_seo@kukinews.com
서영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