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숲에서 희망 찾은 노숙인들…월평균 114만원 소득

숲에서 희망 찾은 노숙인들…월평균 114만원 소득

기사승인 2009-02-06 17:26:02


[쿠키 사회] '노숙자' 출신인 전모(45)씨는 요즘같은 불황에 일을 하고 있다는 게 감사할 따름이다. 전씨는 강원도 동해시 조그만 설계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의 작업장은 강원도 인근 산들이다.

10년 전 외환위기 시절 다니던 전자부품회사가 부도 나 일자리를 잃었던 때를 떠올리면 지금은 하루 하루가 행복하다. 당시 그는 가족과 떨어져 서울 영등포역 쪽방을 전전하며 하루 벌어 하루 버티는 신세였다. 일감을 구하지 못할 때는 길에서도 밤을 지샜다. 그러던 중 2003년 서울시와 산림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숲가꾸기 사업을 알게 돼 참여를 신청했다.

전씨는 6일 "인제로 내려가 벌목을 하는 일을 맡았는데 그때는 매일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중요했다"고 말했다. 14㎏이 넘는 기계톱을 들고 나무를 베는 일은 고됐다. 파스를 몸에 달고 살았다. 하지만 한 달 뒤 114만원의 월급을 손에 쥐었고는 희망이 생겨났다. 일이 힘들어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도 많았지만 그는 4년을 묵묵히 나무와 씨름했다. 그는 2007년 산림기사 자격증을 딴 뒤 설계사무소에 취직해 제2의 삶을 살고 있다.

전씨는 "산에서 여유를 찾았다"며 "포기하기보다 무슨 일이든 꾸준히 하면서 자활 밑거름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씨는 서울시가 노숙인들의 자활을 유도하기 위해 199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노숙인 숲가꾸기 지원사업'의 성공 사례다. 숲가꾸기 사업에 참여한 노숙인들의 10% 가량이 전씨처럼 자활에 성공했다.

2003년 산림청과 첫 도급계약을 맺은 뒤 지난해까지 513명이 '숲가꾸기 사업'에 참여해 80억2000만원 어치를 수주했다. 54억원의 순이익도 냈다. 개인별로 월평균 114만원, 연 소득 1370만원을 번 셈이다. 큰 돈은 아니지만 노숙 생활을 청산할 수 있는 밑천이 되기엔 충분하다.

서울시는 숲가꾸기 사업에 참여할 자활영림단원을 수시로 모집하고 있다. 노숙인 쉼터 입소자를 우선 선발해 이들의 자활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선발된 단원은 인제, 영월, 울진, 봉화 등 4개 지역에서 국유림 심기와 가꾸기, 간벌, 병해충 방제 등을 맡게 된다.

서울시 복지국 배영수 자활보호팀장은 "지금까지 숲가꾸기 사업에 참여한 513명 가운데 총 52명이 자활에 성공했다"며 "노숙 생활을 정리하고 가정으로 돌아가거나 현지에 정착해 취업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조현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