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김태구 기자]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금리 상승, 변동성 확대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자금의 경우 국내 주식 시장에서 순매도가 일어났다. 다만 한국의 기준금리 상승 속도는 상대적으로 미국보다 빠르지 않아 한·미간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시기별 미국 금리 인상의 국내 경제영향과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이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올린 시기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중반 두 차례다.
미국은 1990년대 후반 물가 불안 우려, 균형실질 기준금리 상승, 주식시장 급등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4.75%에서 6.50%로 1.75%p 인상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지 8개월이 지난 2000년 2월 국내 기준금리도 4.75%에서 5.00%로 0.25%p 높아졌다. 이같은 금리 인상 속도 차이에 따라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는 1999년 6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역전됐다.
이 기간 국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1999년 6월 6.88%에서 금리 인상 종료 시점인 2000년 5월 8.96%로 상승했다. 또한 원·달러 환율은 같은 기간 1168.5원에서 1121.4원으로 4.2% 떨어졌다. 주요국 통화의 경우 달러화 대비해 가치는 엔화가 절상(환율 하락), 유로화가 절하되는 흐름을 보였다.
국내 주식시장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초기 상승 기조를 보이다 하락세로 전환됐다. 외국인은 국내 주식 시장에서 미국금리 인상이 있기 전 순매수 기조였으나 금리 인상이 시작된 이후 순매도로 전환했다.
국내 경기는 외환위기 여파에서 벗어나며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며 경기흐름은 회복기에서 확장기로 진행됐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기간 동안 평균 경제성장률 11.9%로 높았다. 국내 수출도 미국 기준금리 인상기간 동안 평균 증가율 21.6%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미국 기준금리 2차 인상은 2004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진행됐다. 이 기간 미국은 이 기간 미국은 기준금리를 1.00%에서 5.25%로 4.25%p 올렸다. 2000년대 중반 부동산가격 급등과 물가 불안 등이 기준금리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시기 국내 기준금리는 오히려 2004년 8월과 11월에 0.25%p씩 인하됐다. 이후 2005년 10월부터 기준금리가 오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2005년 8월부터 2년 동안 미국 기준 금리가 한국보다 높은 현상이 나타났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2004년 6월 4.39%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 종료 시점인 2006년 7월 4.89%로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은 1158.6원에서 950.6원으로 떨어졌다. 엔화(절상)와 유로화(절하) 등 주요국 통화의 달러화 대비 가치는 1차 인상기와 같은 흐름을 보였다.
국내 주식시장은 2004년 부동산가격 급등, 유가상승 등으로 연초부터 미국 금리인상 우려가 커지며 코스피 주가가 금리인상일 전까지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금리인상 이후 불확실성 해소로 주가가 반등했다. 외국인은 국내 주식에 대해서는 순매수에서 순매도로 전환했다.
국내 경기는 금리 인상기에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였다. 경기흐름은 금리 인상 초기 후퇴기를 거쳐 회복기, 확장기로 진행됐다.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작되기 전 1년간 국내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카드사태 여파로 3.9%에 머물으나 미국 기준금리 인상 기간 동안 평균 GDP 성장률 4.2%로 소폭 상승했다.
국내 수출 증가율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기 전 1년간 국내의 평균 27.8%를 기록하다가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된 시점부터 종료될 때까지 평균 16.2%로 다소 낮아졌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천구 연구위원은 “현재 국내 경제 상황을 살펴보면 불안한 정책 컨트롤 타워, 가계부채 급증 및 부동산 급랭 가능성, 기업 구조조정 진행 등이 위험요인이 있다”며 “이러한 국내 경제 리스크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맞물리면 과거와 달리 국내에 주는 충격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경제정책을 조율하고 주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확립해 통화 및 재정정책의 방향성을 잡고 일관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