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유수환 기자] 국내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의 제재로 인해 국내 5대 상장 화장품 기업(자산 규모 기준)의 주가가 내림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장사 모두 1년 전과 비교하면 주가가 크게 추락한 상태다. 새정부가 들어선 후 타업종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더욱이 중국과 얽힌 실타래를 풀 마땅한 카드가 문재인 정부에 없다는 것도 화장품주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자산규모 1위 LG생활건강 올해 초부터 주가가 소폭 반등하고 있으나 나머지 업체는 보합세거나 여전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콜마, 코스맥스, 잇츠한불(잇츠스킨) 등의 주가는 여전히 주춤한 상태다.
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5대 상장 화장품업체의 주가는 1년전(2016년 7월 6일 기준)과 비교해 크게 떨어졌다. 자산 1위(5조2762억원) 아모레퍼시픽의 현재 주가(5일 종가 기준)는 29만9500원으로 1년전(43만9500원) 대비 약 31.85% 감소했다.
올해 1분기 매출 1위를 기록한 LG생활건강의 주가도 전년도와 비교하면 하락했다. LG생활건강의 주가(5일 종가 기준)는 97만2000원으로 1년 전인 지난해 7월 6일(115만6000원) 비교해 약 15.91% 감소했다.
5대 상장 회사 중 주가 하락율이 가장 높은 곳은 잇츠한불(구 잇츠스킨)이다. 잇츠스킨의 이달 5일 종가기준 주가는 4만2150원으로 1년전(8만2300원)과 비교해 거의 반토막(48.78% 감소)났다.
자산규모 3~4위의 코스맥스와 한국콜마의 주가도 지난해 대비 크게 감소했다. 코스맥스의 5일 기준 주가는 11만2000원으로 지난해(16만8205원) 대비 33.41% 줄었다. 한국콜마의 주가는 지난해 보다 31.42% 낮아졌다. 한국콜마의 주가는 지난해 7월 5일 10만5000원이었으나 1년이 지난 올해 7월 5일 7만2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이후 한반도 리스크 완화 등으로 화장품주가 소폭 반등하고 있으나 업체마다 희비를 보였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의 주가는 3개월 전(2017년 4월 6일 기준)과 비교해 각각 8.51%, 22.41% 증가했으나 코스맥스(-18.84%), 한국콜마(-5.01%), 잇츠한불(-4.09%) 등은 여전히 주춤한 상태다.
증권사들이 제시한 목표주가는 현재 주가 보다 높아 반등 가능성은 있다. 그럼에도 모든 화장품업체의 목표주가가 하향세를 그리고 있는 양상이다.
코스맥스의 목표주가(2017년 5~7월 기준)는 14만원에서 18만원이다. 평균 목표주가는 15만7550원으로 앞으로 40.66% 상승할 여력이 있다. 한국콜마의 평균 목표주가는 9만9000원으로 앞으로 37.5%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잇츠한불의 평균 평균목표주가는 5만1500원으로 현재 주가(5일 종가 기준, 4만2150원) 보다 약 22.18% 올라갈 여지가 있다. 아울러 LG생활건강(11.17%)와 아모레퍼시픽(10%)도 주가가 오를 것으로 증권업계는 전망한다.
하지만 증권사가 제시한 목표주가는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특히 잇츠한불의 목표주가는 1년 전 11만4000원이었으나 이달 5일 종가기준으로 5만1500원으로 54.82% 내려갔다. 이어 아모레퍼시픽(-36.64%), 코스맥스(-23.33%), 한국콜마(16.87% 감소), LG생활건강(-16.22%) 순으로 목표주가가 떨어졌다.
하나금융투자 박종대 애널리스트는 “화장품 브랜드 업체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는 부진이 예상된다”면서 “사드 보복조치 영향으로 중국 현지 사업 부진과 국내 소비 둔화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사드 배치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는 이상 화장품업체의 주가 반등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도 사드 배치 논란과 관련해 중국 정부를 설득할 수 있는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미국 방문 당시 사드배치 철회의사가 없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공산당 주석은 6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 하지만 시 주석은 발표문에서 “한국은 중국의 개선 발전을 위해 장애물을 제거하기 바란다”라며 사드 배치 계획을 철회할 것으로 우회적으로 요구했다. 하지만 사드 배치 문제는 미국과 얽혀있는 사안인 만큼 중국 정부를 설득할 만한 대안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우려한다.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