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지난 1938년 제국주의 실현을 꿈꾸던 일본은 '국가총동원법'에 따른 국민 총동원령을 제정했다. 식민지였던 조선에도 여파가 미쳤다. 일본은 모집·관 알선·징용 등으로 형태를 바꿔가며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다. 국내를 비롯해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로 800만명이 끌려갔다. 이들은 원치 않는 총을 들어야 했고, 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이중 최소 60만명이상은 죽거나 행방불명됐다.
국가는 이들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79년의 세월이 흘렀다. 역사는 흐려졌다. 교과서는 단 한 문단으로 피해자의 삶을 축약했다. 이들을 기리기 위한 동상 건립은 정부의 불허로 난항을 겪고 있다. 진상규명과 피해보상 역시 지지부진하다. 백발이 성성한 피해자들은 지금도 지팡이를 짚고 국회와 법원을 오간다.
쿠키뉴스 기획취재팀은 지난 4월부터 강제 동원의 역사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취재를 시작했다. 전국을 돌며 피해자와 유가족을 찾았다. 일본을 방문, 비극의 흔적을 되짚어봤다. 쿠키뉴스 기획취재팀은 94세의 피해자를 대신해 "우리를 잊지 말아달라"던 그의 간절한 당부를 독자들께 전한다.
▲ 틀린 표현도 버젓이…집필 기준도 피해 현황 언급에 그쳐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⑮에 계속) 초등학생들은 5학년2학기와 6학년1학기, 총 1년에 걸쳐 사회 과목을 배운다. 학교별로 원하는 검정 교과서를 채택하는 중·고등학교와 달리, 초등학교는 교육부에서 발간한 공통 교과서를 활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 번 틀린 표현이 기재되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전국의 초등학생이 그릇된 지식을 습득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제징용’이라는 단어가 그렇다. 강제 징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과서는 물론 일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징용’은 국가권력으로 국민을 일정한 업무에 강제적으로 종사시키는 일을 뜻한다. 단어 안에 이미 강제성이 포함되어 있다. 강제징용이란 말은 징용으로 끌려갔던 피해자들의 입에서 전해져 온 구술언어다. 학계 역시 ‘강제동원’이라는 단어로 명칭을 통일해나가는 추세다.
학생들은 강제 동원 자체에 그치지 않고 침략전쟁 당시의 일본과 조선을 포함한 전쟁 피해국을 공부한다. 그러나 교과서만으로는 설명에 한계가 있다. 시대별 분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하길초등학교 이설화(24·여) 교사는 “조선 시대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며 “교과서 본문에 기재된 내용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초등교사들 역시 교과서만으로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때문에 교사 스스로 보충교재를 만들어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교사들은 EBS 등의 프로그램을 수업시간에 활용하거나 교사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자료를 공유한다.
교육부에서 발간한 ‘중등 역사과 검정 도서 집필 기준안(중학교 역사, 고교 한국사)’이 추상적인 집필 기준을 제시했다는 지적도 있다. 중학교 역사 집필 방향에는 ‘일제가 침략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수탈하기 위하여 다수의 한국인을 징용·징병으로 강제 동원하였다는 사실을 서술한다’고 쓰여 있다. 집필 유의점으로는 ‘징용, 징병 피해자들의 사례를 통해 일제 전시 강제 동원으로 인한 피해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고 되어 있다. 즉, 출판사들로서는 피해자들의 강제로 끌려가 겪은 피해 사실을 나열하는데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모 출판사 관계자는 강제동원 서술 분량 부족과 관련해 “교과서 본문 내용은 교육부에서 내려온 집필기준을 그대로 따른 결과”라고 말을 흐렸다.
▲ 여전한 日 교과서 왜곡…“강제동원은 한국보다 진전”
그렇다면 일본 역사 교과서는 어떨까. 일본은 꾸준히 교과서 왜곡을 실현해왔다. 우리 정부가 문제를 인식하게 된 것은 지난 1982년. 일본이 이듬해 4월 이후 사용될 초·중·고교 역사 교과서에 한국의 고대사·근대사·현대사 등을 왜곡, 외교 문제로 비화하면서다. 이 중 현대사 왜곡이 가장 심했는데, 한국 침략을 ‘진출’로, 외교권 박탈과 내정 장악을 ‘접수’ 등으로 호도하고 조선어 말살정책을 ‘조선어와 일본어를 공용어로 사용’ 등으로 왜곡했다. 특히 지난 3월 발표된 새 고등학교 검정 교과서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사와 정치경제 교과서 7종서 검정 기준에도 없는 ‘한·일 위안부합의’ 내용이 실렸다. 또 합의 내용을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고 기술해 문제가 됐다.
그러나 강제동원은 경우가 조금 다르다. 한혜인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이 발표한 ‘일본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강제동원 기술 상황’에 따르면 일본의 지리역사교과(일본사 A·B, 세계사 A·B, 지리 A·B) 및 공민(현대사회, 윤리, 정치경제)교과서 총 28종을 분석한 결과 한국교과서 보다 진전된 측면이 있었다. 동남아시아의 ‘로무샤’(강제노역 인부) 문제를 포함해 기술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물론 최근의 일본 교과서는 문부과학성 고시제2호로 발령된 ‘의무교육제학교 교과용 도서검정기준 및 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검정 기준의 일부를 개정하는 고시’(이하 검정개정 고시)의 영향을 받아 위안부 및 강제동원 기록에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진보적인 출판사의 경우 일본사를 제외한 세계사와 공민 등에서 적극적인 기술을 펼치고 있다. 일본 ‘야마카와’ 출판사의 경우 공민 ‘제3부 인간으로서의 존재 방법’에서 “전후 일본은 아시아 각국에 대하여 국가 간의 배상사죄를 행했다. 그러나 아시아 사람들이 전쟁에서 피해를 입은 개인의 보상을 구하여 일본 정부에 대한 소송을 일으키는 경우가 이어지고 있다. 아시아 사람들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전쟁 책임은 잊으면 안 되는 것이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한 연구관은 “강제동원과 관련해 한국이 교과서 본문에서만 내용을 기술하는 것과 달리 일본은 ‘박스’나 ‘함께 배워보자’ 등을 활용, 추가 기술을 한다. 또 해당 도시를 직접 방문하거나 숙제 등을 통해 강제동원에 대해 배운다. 내용 자체는 한국보다 일본 교과서가 훨씬 잘 기술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교과서는 전쟁 따로 식민지 체제 따로 기술되어 있다”며 “일본은 강제연행과 전쟁이 밀접하게 되어 있다. 강제동원은 식민지 피해와 동시에 전쟁의 피해가 연관되어 있다. 전쟁과 밀접하게 기술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쿠키뉴스 기획취재팀 spotlight@kukinews.com
영상=윤기만 adrees@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