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주, 적폐청산 바람에 주가 흔들

은행주, 적폐청산 바람에 주가 흔들

금융주, 적폐청산 바람에 주가 흔들

기사승인 2017-11-09 05:00:00

‘국정원 채용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사퇴하면서 금융권 수장들을 대상으로 검찰의 압수수색이 연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른바 정부의 ‘적폐 청산’이라는 기조에 따라 금융권이 요동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은행주도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의 경우 채용비리가 불거지자 약 20일만에 주가가 10% 가까이 떨어졌다. 

다만 올해부터 상승세를 보이는 금융주의 흐름은 크게 타격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몇 년간 금융권의 각종 비리 논란이 불거졌지만 주가 흐름은 일시적이었기 때문이다. 즉 기업의 벨류에이션과 외부적 요소가 주가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또한 실적개선과 배당수익률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다.

◇ 은행업종 지수 하락세…우리은행 주가 급락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3개월 간 은행업종의 지수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초부터 상승 랠리를 탔던 은행업종이 미국발 추가 금리인상 기대감에 대한 불확실성,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영향으로 주춤하고 있다. 지난 8월 8일 KRX 은행주 지수는 988.64였으나 이달 7일 898.34로 9.13% 감소했다. 

국내 주요 은행들도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의 경우 3개월 전에 비해 17.19% 주가가 하락했다. 이어 신한금융지주(-11.31%), 하나금융(-10.13%), KB금융(-2.21%)도 떨어졌다. 

최근 정부의 ‘적폐 청산’을 통한 개혁 움직임은 금융권 전체로 확대된 상황이다. 특히 우리은행은 국정원 및 VIP자녀 특혜채용 의혹이 불거지면서 주가 하락세가 뚜렷하다. 

지난 10월 17일 한 매체에서 우리은행이 국정원 직원 및 VIP 자녀 등을 특혜채용했다는 보도가 나간 후 우리은행의 주가는 20일 만에 10.05% 급락했다. 결국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지난 2일 스스로 물러났다. 검찰은 이달 7일 채용비리 사건과 관련해 우리은행 본점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다른 금융사의 경우도 안심하기 힘든 상황이다.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역시 최순실 게이트에 의혹에 얽혀있는 상황이다. 김 회장은 최순실씨 독일생활을 지원했던 이상화씨를 청와대 부탁으로 특혜 승진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KB금융지주 윤종규 회장이 수장으로 있는 국민은행도 최근 압수수색을 당한 바 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25일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채용 비리 혐의로 압수수색을 감행했다.

◇ 금융사 주가 흐름, 기업 밸류에이션·외부 변수가 더 중요

하지만 이 같은 정치적 흐름이 기업의 주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사 컨트롤타워의 부재 혹은 비리 혐의가 단기간 주가에는 부정적인 신호가 올 수 있지만, 결국 기업의 실적과 외부적 변수가 주가 흐름에 더 큰 역할을 했다는 것.

예컨대 지난 2014년 9월 금융감독원(금감원)이 KB금융지주 임영록 회장 포함 4명을 검찰에 고발한 이후 KB금융지주의 주가는 하루 만에 2150원 하락했다. 그러나 KB금융지주의 주가는 반등과 하락을 반복했다. 

우리은행의 지난 3년 간 주가 추세를 보더라도 2014년부터 2016년 말까지 보합세를 보였다. 이후 지난해 말부터 주가가 크게 오르기 시작했다.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모두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최근 대출 건전화,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가계대출의 양적 증가, 금융권의 실적 향상, 금리 상승세로 인한 예대 마진의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주가 상승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4대 금융사들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도 연말 실적개선과 배당수익률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은행주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A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향후 은행업종 주가흐름은  기업대출 성장의 견조함, 시장금리 상승과 포트폴리오 개선으로 인한 순이자마진 개선추세에 미뤄 볼때 양호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관측했다. 다만 “가계부채 및 부동산 대책 등과 같은 정부 규제의 영향은 일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