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3일 (토)
[기자수첩] 담배냄새 안난다고?…아이코스의 허점

[기자수첩] 담배냄새 안난다고?…아이코스의 허점

기사승인 2018-03-07 00:03:00
담배냄새가 안 난다는 이유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아이코스 등 궐련형 전자담배. 하지만 국내 현실에서는 실효성이 없어 보인다.

국내에서 궐련형 전자담배는 담배로 분류돼 금연구역에서는 피울 수 없다. 즉 궐련형 전자담배도 흡연구역에서만 피울 수 있다는 것인데 일반 궐련형 담배 연기로 가득 차 있는 흡연장소에서 냄새가 몸에 배지 않기는 어렵다.

물론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입에서 담배냄새가 덜 난다고 항변할 수 있다. 하지만 유해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간접흡연으로 인한 유해성 문제까지 논란이 될 여지가 크다. 

담배회사들이 이 같은 현실을 고려했는지는 관심 없다. 다만 궐련형 전자담배가 덜 유해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간접흡연’으로 노출되는 유해물질은 수천가지이며, 이 중 비소·벤젠·크롬·부타디엔 등 발암성 물질도 포함돼 있어 지속적으로 노출 시 비흡연자에게 폐암·후두암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암 이외에도 소아에서 천식 악화, 폐렴 발생 및 성인에서 뇌심혈관계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공공장소의 흡연부스를 보면 많은 흡연자로 가득 차 있다. 특히 밀폐형 흡연부스는 이들이 피우는 담배 연기로 가득차있어 숨쉬기조차 쉽지 않지만 환기시설 등은 열악한 상황이다. 

일례로 제주공항의 흡연부스는 10명이 정원이다. 하지만 공간 가득 흡연자가 찰 경우 20명이 넘어 숨조차 쉬기 힘들고, 흡연자들이 출입할 때마다 열리는 문으로 새어 나가는 담배연기는 밖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는 비흡연자에게도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장소에서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운다고 해서 담배냄새가 안 날까.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가 더 증가하면 일반형 궐련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 부스를 나눠달라는 요구가 생길지도 모르겠다.

다시 돌아가 궐련형 전자담배가 처음 출시됐을 때 많은 소비자가 유해성이 덜하다고 해서, 냄새가 안난다고 해서, 금연을 위해, 궐련비용이 저렴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선택했다. 하지만 담뱃값은 세금 인상으로 선택의 이유에서 빠졌고, 이제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선택지도 빠질 것으로 보인다.

또 향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유해성 결과를 발표하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궐련형보다 유해성이 적어 선택한다는 이유도 빠질 것으로 보인다. 

담배는 어떤 종류든 백해무익(百害無益)하다는 것을 모든 흡연자가 알고 있다. 하지만 ‘기존 담배보다는 건강에 덜 해롭겠지’ 등의 흡연자의 희망사항을 악용한 담배 마케팅은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되고, 정부도 이를 방치해 새로운 담배시장이 형성되고 뒤늦게 금연정책을 펼치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85억원대 금융사고 터졌다…이번엔 KB국민·하나은행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에서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총 85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국민은행에선 21억원 가량의 사고 1건이, 하나은행에선 64억원에 이르는 3건의 사고가 터졌다.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20억745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피해 금액은 20억7450만4000원으로 손실예상금액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금융사고 내용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다. 부산 지역에서 대출사기 일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