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철강업계는 철강산업의 전방 산업인 자동차, 건설, 조선업의 부진으로 내수 매출은 부진하고,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파고로 수출길이 좁아지는 ‘이중고’를 겪을 전망이다. 이에 주요 철강사들이 미래먹거리를 위한 투자와 통상대응력 강화로 활로 찾기에 나섰다.
7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철강사들은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보호무역주의 장벽과 내수 시장(자동차·건설·조선업)의 부진에 맞서 통상조직을 재정비하고, 신사업 투자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견고히 해나가고 있다.
우선 철강업계 맏형인 포스코는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철강 통상 압박에 대응키 위한 무역통상 부문인 ‘무역통상실’을 신설했다.
특히 지난 1일 신설한 해당 조직의 무역통상실장에 김경한 전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을 선임했는데 김 전 심의관은 글로벌 역량과 통상 관련 네트워크를 보유한 ‘외교통’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실장은 외교부에서 한미 FTA 기획단 팀장, 다자통상국 통상전략과장, 한·EU FTA 협상단 과장, 주인도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 등을 지낸 통상 전문가다.
아울러 포스코는 신성장동력으로 ‘이차전지 소재’(전기차·노트북·휴대폰 배터리 재료)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2030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 20%, 매출액 17조원 규모의 사업으로 키워내 포스코의 미래먹거리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 그룹은 생산능력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12월 세종시에서 진행된 ‘2차전지 음극재 1공장 준공식’을 통해 준공이 완료된 연산 2만4000톤 규모의 1공장과 함께 내년 2공장의 건설이 완료되면 연간 총 7만4000톤까지 음극재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5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 판매 차량의 21%를 차지할 전기차의 주요 재료인 음극재 생산 능력을 선제적으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2위 현대제철도 통상 대응 조직을 기존 2개 팀에서 ‘통상전략실’로 확대 개편했다. 제품 품목별로 통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현대제철은 수소전기차의 미래 수요에 대비해 금속분리판 생산에 나섰다. 금속분리판은 포스코의 음극재와 마찬가지로 수소차 주요 부품의 핵심소재다.
현대제철은 최근 충남 당진공장에서 오는 4월을 목표로 6000대 규모의 수소차용 금속분리판 생산설비 증설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1만6000대 규모의 수소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세아그룹 지주사인 세아홀딩스는 계열사(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등) 전체를 관장하는 통상조직을 출범했다. 이는 대응 창구를 단일화해 효율적으로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고, 지주사 차원에서 선제적 대처를 하기 위해 조직을 새로 꾸린 것으로 분석된다.
철강업계 3위인 동국제강도 20년 이상 경력을 가진 통상전문가를 꾸려진 통상전략팀을 통해 통상업무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내수 시장 침체와 함께 세계적 보호무역주의는 업계의 대응이 필요한 큰 문제”라며 “특히 통상 이슈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기에 이를 선제적으로 신속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주요 철강사들이 통상조직을 신설 또는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