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 서울시내 초·중·고등학교 운동장 4곳 중 1곳 이상이 법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신체·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교내 야외시설이 부족한 것이다.
2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에서 제출받은 ‘서울 초·중·고등학교 운동장 면적 기준 미달 현황’을 보면 지난해 서울시내 전체 초·중·고등학교 1301곳 중 법에 쓰인 운동장 면적 기준이 미달되는 곳은 26.2%(341곳)이다.
대통령령인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에 따르면 학생 600명 이하를 기준으로 초등학교는 3000㎡, 중학교는 4200㎡, 고등학교는 4800㎡의 운동장 면적 확보를 기본으로 한다. 학생이 601명 이상~1800명 이하, 1801명 이상 등으로 많아지면 이에 맞춰 더 넓은 면적을 확보해야 하는 식이다.
지역별로 미달율을 나눠보면 서울 중부 40.4%(99곳 중 40곳), 서부 40.3%(151곳 중 16곳), 성북·강북 34.7%(92곳 중 32곳), 성동·광진 34.5%(84곳 중 29곳), 동작·관악 29.2%(99곳 중 29곳), 강남·서초 25.6%(125곳 중 32곳), 동부 25.5%(29곳 중 24곳) 등이었다.
학교별로 미달율을 구분하면 중학교 39.0%(384곳 중 150곳), 고등학교 28.7%(317곳 중 91곳), 초등학교 16.6%(600곳 중 100곳) 순이었다.
서울시교육청은 운동장 면적의 부족분을 실내체육시설 건립으로 채운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여건 상 운동장 면적을 기준에 따라 확보하기 힘들 땐 운동장을 두지 않거나 (운동장)면적을 완화해 인가할 수 있다”며 “특히 서울시는 운동장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데 따라 실내체육시설 설치 등으로 운동장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교육업계 등에선 실내체육시설이 운동장의 대체재가 되기엔 한계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한 관계자는 “실내체육시설은 학생들이 움직이는 데 제약이 더 크고, 자연환경을 마주할 수 없는 등 단점이 있다”고 있다.
학생들의 체력 수준은 매년 떨어지고 있다. 학교정보공시 사이트 ‘학교알리미’를 보면 2016~2018년 3년간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를 시행한 결과 고체력(1·2등급) 평가를 받는 학생은 매년 근 1%포인트씩 줄어든 반면 저체력(4·5등급) 평가를 받은 학생은 근 1%포인트씩 증가했다.
김병욱 의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많아진 학생들의 체력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며 “교육당국은 학생들의 신체 활동에 제약이 없도록 운동장을 비롯한 체육시설 확충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juny@kukinews.com